상단영역

본문영역

지식정보

제목 기업의 보유자산 현황분석과 시사점
저자 출처 산업은행
발간일 2004-07-29 등록일 2004-08-02
파일크기/형태 38 Byte / hwp 가격 0
조회수 6481 다운로드수 39
파일 기업의 보유자산 현황분석과 시사점 .hwp
요약
산업은행이 최근 5개년 기업재무분석 결과를 종합한 ‘기업의 보유자산 현황분석과 시사점’이라는 보고서다.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제조업은 최근 5년간 매출액은 1999년 505조원에서 2003년 604조원으로 약 100조원 증가했으나 총자산규모는 1999년 614조원에서 2003년말 585조원으로 29조원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자산감소는 고정자산중에서 유형자산 특히 기계장치자산의 감소가 두드러져 우리기업의 생산능력 기반이 크게 위축되고 있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같은 기간중 고정자산은 48조원 감소(392조원→344조원, △12.2%)했으며, 기계장치자산은 16조원 감소하여 (92조원→76조원, △17.4%) 기계장치 자산의 감소율이 높았다.
기업규모별로 유형자산의 보유현황을 살펴보면 중소기업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나 대기업 특히 6대이하 중견대기업의 감소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또 같은 기간중 중소기업의 유형자산규모는 70조원에서 81조원으로 꾸준히 증가했으나 대기업은 200조원에서 160조원으로 약 40조원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대기업군을 5대기업, 6~30대기업, 30대미만 대기업으로 구분하여 보면 5대기업의 유형자산규모는 큰 변화가 없으나 6~30대기업군과 30대미만 대기업군에서 유형자산감소폭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기업의 유형자산규모가 감소한 것은 외환위기 이후 기업의 설비투자규모가 크게 줄어든 것이 주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이와 관련 2003년 제조업 전체의 설비투자 규모는 26조원으로 외환위기 전인 1996년의 39조원의 66% 수준인 것으로 밝혀졌다. 실제로 1998년부터 2002년까지 5년 동안의 연평균 설비투자규모는 1996년의 절반수준인 20조원 내외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중견대기업의 기계장치 감소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난 것은 외환위기이후 Workout 등 기업구조조정이 30대 계열기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중견대기업의 퇴출, 분할, 자산매각 등이 활발히 추진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됐다.
이처럼 국내기업중 상위 5대기업을 제외한 중견대기업부문의 위축이 더욱 심각하게 나타나고 있어 향후 중견기업부문의 활성화가 경제의 균형발전에 중요한 과제가 돼야 할 것으로 보고서는 전망했다.
보고서는 특히 국내 IT산업구조가 최근 성장하고 있는 휴대폰산업에서 나타나고 있듯이 대형기업과 그 하청기업으로 양분화되고 있는 양상을 보임에 따라 향후 국내 제조업은 초대형 기업의 지배력이 한층 강화되고 중견기업들의 기반이 더욱 위태로와질 것으로 우려했다.
보고서는 중견기업부문의 활성화를 위해서 국내산업의 선도 대기업들이 중소부품업체를 육성하려는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의식 확산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