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지식정보

제목 중소기업 정보시스템 수요조사 결과
저자 출처 KIMI
발간일 2004-06-23 등록일 2004-07-28
파일크기/형태 110 Byte / hwp 가격 0
조회수 6282 다운로드수 33
파일 중소기업 정보시스템 수요조사 결과.hwp
요약
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KIMI)이 실시한 '중소기업 정보시스템 수요조사' 결과다.
이에 의하면, 중소기업은 ERP와 POP/MES를 가장 많이 운용중인 것으로 나타나 그동안 정부의 적극적인 정보화 지원사업의 추진이 나름대로의 성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시스템 도입순위는 ERP를 가장 우선적으로 도입하며, 그 다음으로 생산정보화, 그룹웨어 등을 도입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정보시스템의 평균 구축기간은 20.8개월이 소요되며, 주요 기능을 우선적으로 구축하는 단계적인 구축방법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많은 중소기업이 정보화를 추진함에 있어 사전준비 또는 도입 후 성과관리를 제대로 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의 51.7%는 ISP, BPR 또는 두 가지 모두를 실시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아직도 48.3%의 중소기업은 사전계획 수립없이 정보시스템 구축을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시행착오에 따른 투자비 증대가 우려된다. 또한 정보시스템 도입 후 도입성과 및 정보화투자의 적정성을 평가하고 있는 기업도 49.5%에 불과하여 정보화투자의 효과를 저해하고 있다.
중소기업이 향후 가장 우선적으로 도입을 희망하는 정보시스템은 고객관리부문(CRM) 및 전략적기업경영부문(SEM) 등의 정보시스템으로 조사됐다. 이는 기업내적으로는 기업정보를 통합하고, 기업외적으로는 수익성과 연계되는 통합형 정보화를 추진하고자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정보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실질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부문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향후 중소기업 정보화 추진의 성과 제고를 위해서는 정보시스템의 효율적 도입방법과 적절한 구축, 합리적 구축기간 등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서는 중소기업 스스로 정보화투자의 효과를 제고할 수 있도록 ISP 수립 및 도입성과 측정에 적극적이어야 하며, 정부 또한 체계적인 정보시스템 분류와 합리적인 구축기간 등을 고려한 정보화지원체계의 개선을 검토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