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IT산업 표준화 결정요인 분석 | ||
|---|---|---|---|
| 저자 | 박정수 외 | 출처 | 산업연구원 |
| 발간일 | 2003-12-27 | 등록일 | 2004-07-27 |
| 파일크기/형태 | 2,944 Byte / hwp | 가격 | 0 |
| 조회수 | 5547 | 다운로드수 | 45 |
| 파일 | IT산업 표준화 결정요인 분석.hwp | ||
| 요약 | |||
| 산업연구원의 2003년도 연구보고서 'IT산업의 표준화 결정요인 분석과 표준획득 전략'이다. [요약] 최근 중국은 자국의 막대한 시장을 기반으로 선진기업의 첨단기술을 확보해 나가던 전략에서 진일보하여 독자적인 기술표준을 추진하고 있다. 이는 결국 시장과 생산이라는 측면에서 기회와 위협의 요인으로 다가오던 중국의 IT산업이 표준화라는 또 다른 측면에서 우리에게 다가오고 있다고 할 것이다. 표준화가 가지는 여러 가지 경제적 특징으로 인해 표준경쟁은 기업에게 극단의 결과를 야기한다고 할 것이다. 즉 표준에서의 선점은 해당기업이 시장에서의 우월한 위치를 점유하게 하는 반면, 표준획득에의 실패는 막대한 연구개발비의 손실, 기술료 부담 등을 감수해야 할 것이다. 이에 따라 기업은 물론 각국은 현실적으로 표준화가 어떻게 이루어지고, 또 그 과정에서 어떠한 전략을 취하는 것이 자국기업의 표준획득에 가장 효과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는지에 대해 여러 가지 방안들을 모색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 IT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 급격히 전환되는 새로운 경제구조하에서 그 중요성이 확대되는 표준화 결정과정에서 핵심이 되는 요인분석을 통해 국내기업들의 의견이 다소나마 국제표준화 과정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선결 전략들이 총론적 차원에서라도 논의되어야 할 과제가 아닐 수 없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표준화와 관련된 일반적인 이론적 접근과 함께 표준결정 과정에서 핵심적인 요인이라 할 수 있는 기술적 우위성과 네트워크 효과간의 연관성을 다양한 사례분석을 통해 파악하는 한편, 국제기구 등을 통해 이루어지는 공식표준에 대해서도 살펴봄으로써 현재 기술축적을 통해 어느 정도 경쟁력을 확보해 나가고 있는 우리 나라 IT산업이 향후에는 표준획득 경쟁에서도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하고자 마련되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