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지식정보

제목 최근 유가급등이 국내산업에 미치는 영향
저자 출처 대한상의
발간일 2004-06-09 등록일 2004-07-27
파일크기/형태 488 Byte / hwp 가격 0
조회수 5831 다운로드수 42
파일 최근 유가급등이 국내산업에 미치는 영향.hwp
요약
대한상공회의소(회장 朴容晟)가 현대경제연구원(회장 金重雄)과 공동으로 실시한 「최근 유가 급등이 국내 산업에 미치는 영향」조사 결과다. 이에 따르면 업종별로 채산성이 급격히 악화되는 배럴당 유가(두바이유 기준)가 ▲섬유 33.5달러, ▲전기전자 33.8달러, ▲철강 33.9달러, ▲건설 34.1달러, ▲조선 34.5달러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두바이유의 5월평균 가격이 34.66달러였고 6월초에도 35달러대를 상회했음을 감안하면 섬유, 전기전자, 철강, 건설, 조선 등 업종은 이미 채산성 악화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기업 운영이 불가능한 유가 수준에 대해서는 조선업종이 가장 낮은 37.0달러로 응답했으며 건설(40.0달러), 전기전자(42.8달러), 섬유(43.2달러)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조선이나 건설업종의 경우 수주할 때 이미 제품 가격이 결정되어 제품이 완성되기까지 유가 상승분을 반영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나온 결과로 보인다.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4/4분기 유가 급등이후 이익이 감소했다는 업체가 전체의 61.6%를 차지했으며, 특히 중소기업의 경우 69.2%가 이익이 감소했다고 응답, 최근의 고유가 상황은 중소기업에 타격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유가 급등으로 인한 비용 상승분을 제품 가격에 반영할 시기로는 ‘이미 인상했다’(5.1%), ‘1개월 이내’(9.4%), ‘1~3개월’(15.4%), ‘3~6개월’(23.1%) ‘6개월 이상’(41.0%)으로 나타났다. 상의는 기업들이 비용 상승 요인을 제품 가격에 반영하는 것을 미루는 것은 가뜩이나 침체된 소비가 더 심각해질 것을 우려한 때문으로 분석하였다.
유가 급등에 대비한 비상 계획을 수립하고 있는 기업은 응답업체의 21.3%에 불과했다. 내수기업(15.5%)보다는 수출기업(36.8%)이, 중소기업(13.5%)보다는 대기업(27.1%)이 비상 계획 수립에 더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