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지식정보

제목 최근 러시아 석유부문 동향
저자 출처 수출입은행
발간일 2004-02-12 등록일 2004-02-16
파일크기/형태 790 Byte / pdf 가격 0
조회수 5985 다운로드수 57
파일 최근 러시아 석유부문 동향.pdf
요약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가 내놓은 보고서 '최근 러시아 석유부문 동향'이다.
러시아 원유생산량은 지난 1999년 이후 국제유가의 상승과 유럽기업으로부터 선진기술 도입 등으로 대폭 늘었다. 2002년 생산량은 전년대비 8.5% 늘어난 3억7,800만톤(일산 840만 배럴)에 달했으며 2003년에는 전년대비 11%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원유생산 증가세는 앞으로도 지속돼 2010년에는 하루 1,000만 배럴을 생산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러나 러시아의 원유 및 석유 생산과 관련, 부정확한 매장량, 떨어지는 자원의 질, 수출 인프라의 한계 등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수출시장] 러시아의 원유 80%가 유럽지역으로, 나머지는 CIS 지역에로 수출된다. 2002년 수출된 1억8,800만톤 중 1억5,500만톤이 유럽지역으로 수출됐으며 3,200만톤이 CIS지역으로 수출됐다. 이는 수출대금 미회수 우려로 CIS 지역으로의 원유 및 천연가스 수출을 억제하는 한편 확실한 외환수입이 예상되는 유럽지역으로의 수출을 늘리고 있기 때문이다.

[석유수출 루트] 러시아의 석유는 주요 송유관과 9개 수출터미널을 통해 수출되고 있다. 유럽지역으로는 하루 120만배럴의 운송능력을 가진 드루즈바(Druzhba) 파이프라인이 주된 통로다. 남/북으로 나뉘어지는 이 파리프라인의 북 드루즈바 라인은 폴란드, 독일 동부지역으로 연결되고, 남 드루즈바 라인은 우크라이나 북부지역을 경유하여 헝가리, 슬로바키아, 체코 등지로 연결된다.
이탈리아 등 지중해 방면으로는 흑해 연안의 노보로시스크(Novorossiisk) 수출 터미널과 우크라이나의 오데사(Odessa)까지 파이프라인을 통해 운송하여 수출한다.
2001년 12월부터 1단계 운영에 들어간 총 연장 284마일의 발틱 파이프라인 시스템(BPS)은 러시아 북서지역의 코미공화국과 네네츠 자치관구에 걸쳐진 티멘-페초라(Timan-Pechora) 유전 및 서시베리아 유전을 북 유럽시장과 연결한다.

[인프라 현황] 러시아 석유 수출 인프라는 거의 풀가동상태로 수출확대를 위해서는 수송 인프라 정비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러시아내 수출망 대부분(90%)이 파이프라인으로 연결되며, 파이프라인의 소유관리는 국영 Transneft사가 독점하고 있다. 러시아 정부가 최근 석유수출 증가에 따라 파이프라인 신설, 기존 파이프라인의 연결 등 운송망 확충계획을 추진하고 있으나 운송능력은 여전히 부족한 상태다.
Transneft사는 운송망 확충에 여전히 소극적이며, 수출능력 확충을 위한 노력도 미미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 회사의 이 같은 소극적 대처에 반발한 러시아 주요 석유기업들이 최근 무르만스크 석유터미널 건설프로젝트 및 동시베리아의 앙가르스크(Angarsk)와 극동 나호트카를 연결하는 파이프라인 프로젝트를 추진중이다.
이들 프로젝트가 전부 계획대로 진행되면 최소한 현재 석유수출량의 60%를 넘는 새로운 수출능력을 확보하게 될 것이라는 평가지만 투자자금 조달 등의 문제로 성사 여부를 점치기 어려운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