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2004 정기선 해운시장 전망 - KMI | ||
|---|---|---|---|
| 저자 | 출처 | KMI | |
| 발간일 | 2004-01-01 | 등록일 | 2004-02-01 |
| 파일크기/형태 | 388 Byte / pdf | 가격 | 0 |
| 조회수 | 5704 | 다운로드수 | 44 |
| 파일 | 2004 정기선 해운시장 전망 - KMI.pdf | ||
| 요약 | |||
|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가 매년 발표하는 새해 세계해운시장 전망 보고서중 정기선 해운시장 부문 자료다. KMI의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유래 없는 호황세를 보였던 세계 컨테이너시장은 올해도 중국의 급속한 경제성장과 미국의 경기회복 추세에 따라 호황을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KMI는 중국의 지속적인 물동량 증가에 힘입어 아시아-북미, 아시아-유럽간 항로를 중심으로 높은 물동량 증가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금년도 세계 컨테이너 물동량은 전년비 6.8%의 증가세를 보이면서 2억7,190만TEU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세계 컨테이너 선대 운항선박량은 전년대비 9.2% 늘어난 713만5,000TEU 규모가 될 전망이다. [아시아-북미 컨테이너항로] 중국의 경제성장, 아시아 경제권의 안정적 성장 그리고 미국경제의 회복에 다라 아시아-북미항로는 안정적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보인다. KMI에 따르면 올해 아시아-북미항로 물동량은 전년비 3.3% 증가한 1,466만3,000TEU에 달할 것으로 보이며 연간 수송능력은 5.7% 늘어난 2,298만4,000TEU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아시아-북미항로는 태평양항로 안정화협의회(TSA) 소속 선사들의 잇단 운임인상 발표로 운임인상 압력을 강하게 받고 있다. 이에대해 KMI는 금년까지 선복부족 현상이 일정기간 유지될 것으로 보이는 만큼 이 항로 운임수준은 소폭 상승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아시아-유럽 컨테이너항로] 아시아-유럽항로 역시 중국의 급속한 물동량 증가와 함께 EU의 점진적 경제회복이라는 호재가 겹치면서 성장추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KMI 보고서는 올해 구주항로 컨테이너 물동량은 1,173만2,000TEU로 전년대비 5.8% 늘어나고 dsrks 수송능력은 주요선사의 운항선대 확대에 다라 1,554만9,000TEU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 항로 운임은 미주항로와 마찬가지로 구주운임동맹(FEFC)의 추가 운임인상 움직임과 중국 컨테이너화물 수송수요 증가 및 선복부족에 따라 강한 증가세가 예측되고 있다. [아시아 역내 컨테이너항로] 한/중항로는 우리나라와 중국간 교역규모 증가에 따라 물동량 증가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이지만 운임수준은 상반기 일시적 상승세 이후 보합세로 돌아선다는 전망이다. 한/일항로 역시 올해도 완만한 물동량 증가세를 유지해 나가겠지만 운임수준은 한/중/일 삼국간 화물 증가추세에 힘입어 소폭의 증가추세를 보인 후 보합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동남아항로는 교육규모 확대에 따라 물동량 증가가 지속되면서 운임수준도 상승추세를 보이겠지만 하반기에는 보합세, 또는 하락추세로 반전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