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지식정보

제목 아시아-미국간 컨화물 물동량 - 2003년 상반기
저자 출처 한국선주협회
발간일 2003-08-19 등록일 2003-09-01
파일크기/형태 25 Byte / hwp 가격 0
조회수 5400 다운로드수 34
파일 아시아-미국간 컨화물 물동량 - 2003년 상반기.hwp
요약
한국선주협회가 미국의 통계자료서비스업체인 JOC-PIERS의 통계를 정리한 자료다. 이에 따르면, 2003년 상반기중 아시아-미국간 수출입컨테이너물동량은 총 624만여TEU로 전년동기의 559만여TE에 비해 9.0% 증가했다.
이 기간중 아시아지역에서 미국으로 수출된 컨테이너화물은 442만470TEU로 전년동기대비 12.4%가 증가했으며, 미국에서 아시아지역으로 나간 컨테이너화물은 6.1% 증가한 182만1,984TEU를 기록했다.
특히, 이 기간중 아시아지역의 국가별 대미 수출 컨테이너물동량 증감현황을 보면 중국이 212만7,536TEU로 전년동기대비 14.0% 홍콩이 63만9,064TEU로 18.1% 증가하는 등 이들 물동량이 전체 수출화물의 63%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어 일본이 38만9,160TEU로 8.2% 대만 38만3,282TEU로 24.3% 한국 25만5,219TEU로 1.6% 태국 19만1,507TEU로 1.2% 등이 각각 증가한 반면, 말레이시아는 10만8,176TEU로 7.9% 인도네시아 13만5,306TEU로 2.2% 등이 각각 감소했다.
또한 아시아 주요국가별 대미 수입컨테이너화물 증감현황을 보면 중국이 55만9,422TEU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22.0%가 늘었으며 일본 46만5,686TEU로 1.6% 한국 22만2,759TEU로 0.5% 대만 14만6,132TEU로 3.1% 등이 각각 증가했으나, 홍콩을 비롯하여 싱가포르, 태국 등은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2003년 상반기중 아시아-미국간 컨테이너화물의 상위 10대 품목을 보면 가구류가 전년동기대비 19.1% 증가한 67만564TEU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어 의류 35만2,730TEU로 21.6% 일반전기제품 31만7,868TEU로 7.8% 완구류 21만2,835TEU로 14.1% 피혁제품 19만6,775TEU로 2.6% 영상·음향제품 17만2,012TEU로 5.3% 등이 각각 늘었다.
이와함께 자동차부품은 15만8,468TEU로 7.8% 플라스틱제품 15만1,771TEU로 25.3% 건축용구 14만4,772TEU로 10.0% 등이 전년동기대비 19.1% 각각 증가한 반면, 컴퓨터·반도체는 15만1,771TEU로 2.3%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