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지식정보

제목 중국의 유통업 현황과 진출방안
저자 출처 KOTRA
발간일 2003-08-15 등록일 2003-09-01
파일크기/형태 2,587 Byte / pdf 가격 0
조회수 5395 다운로드수 280
파일 중국의 유통업 현황과 진출방안.pdf
요약
KOTRA의 '중국 유통업 현황과 진출방안' 보고서다. 이에 따르면, 중국내 외국계 기업이 지난해 100대 유통체인 매출총액의 12%를 차지하고 대형 수퍼마켓의 23%가 외국계기업인 것으로 나타나 외국유통자본 진출에 대한 진출제한에도 불구하고 외국계유통기업의 시장 점유율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중국은 2003년 상반기 내수시장 규모가 2조 1,555억 위앤(2,612억 달러)에 달하는 등 대규모 내수시장에도 불구하고 유통인프라가 미비하고 개방속도가 더디다는 점이 진출 애로사항으로 지적돼 왔다. 그러나, 최근 중국내 경영환경이 개선되고 WTO가입을 계기로 유통업 개방이 적극적으로 진행되면서 유통시장 진출확대를 위한 외국기업간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으며 중국기업들도 생존을 위한 구조조정을 단행하는 등 유통업분야에서 업계개편이 한창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유통업이 전면적으로 개방되는 2006년말 이전에 이미 마무리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이에 대한 우리기업의 대비책이 시급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동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내 대형 슈퍼마켓 등 일반적 성격의 소매유통체인은 이미 포화상태로 우리기업의 진입여지가 적기 때문에 품목별 전문점, 편의점이나 최근 베이징, 광저우 등지에서 활기를 보이는 쇼핑몰 진출 등을 고려해 볼 만하다고 소개하고 있다. 또, 지역별 경제수준을 고려한 업태선정과 함께 중국의 경제분권적 성격을 고려해 가격 및 마케팅 전략 수립시에도 중국을 포괄하는 전략보다는 지역별, 계층별로 세분화된 전략을 수립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특히 이번 조사에는 최근 신흥유통시장으로 프랜차이즈, 전자상거래, 홈쇼핑 시장 현황과 우리기업의 진출방안 등을 상세히 소개하고 기진출 기업사례와 유통업 관련 법규 및 신흥 유통분야의 주요 중국기업 85개사 현황을 수록해 거래선 발굴 및 유망 진출 파트너 발굴에 직접적인 도움이 되도록 하고 있다.
KOTRA 관계자는 '우리기업의 83.6%가 제조업에 대한 투자로 중국 유통업 등 내수시장에 대한 관심은 높으나 실제 투자는 총투자의 2.6%로 미미한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미국계 투자법인인 바이셩(百勝)이 요식체인중 유일하게 10억 위앤 이상의 매출액을 기록하고 2, 3위와의 매출격차도 크게 벌어지는 주된 이유는 중국시장 조기진출에 의한 시장선점 때문'이라고 덧붙이며 '업계개편이 진행중인 현재 시점에서 중국 유통업 진출을 본격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