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LNG 단기거래의 제약-LNG 수송 | ||
|---|---|---|---|
| 저자 | 출처 | 한국가스공사 | |
| 발간일 | 2003-06-05 | 등록일 | 2003-09-01 |
| 파일크기/형태 | 124 Byte / hwp | 가격 | 0 |
| 조회수 | 5506 | 다운로드수 | 90 |
| 파일 | LNG 단기거래의 제약-LNG 수송.hwp | ||
| 요약 | |||
| 한국가스공사연구개발원(한원희)의 리포트다. [서문] 1997∼98년 아시아 경제위기로 인한 중동지역의 LNG 프로젝트들의 잉여 공급물량 판매로 촉발된 LNG 단기거래는 1999년 이후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LNG 단기거래는 LNG 시장의 유연화 추세와 함께 그 역할이 증대됨에 따라 그동안의 단기적인 수급불안 해소나 잉여물량의 판매 이상으로 향후 LNG 시장의 변화를 가속화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LNG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수송능력 역시 크게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LNG 단기거래에 있어서 가장 큰 제약 요인은 활용 가능한 잉여 LNG 수송선의 확보로 인식되어 왔었다. LNG 공급국들의 잉여 공급물량과 LNG 수요국들의 시장 수요가 충분하더라도 LNG를 수송할 잉여 수송능력이 부족한 상황에서는 LNG 단기거래의 활성화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특히 단기적인 수요국의 수급불안 해소가 요구되는 시기에는 그 어려움이 가중될 수밖에 없었다. 비록 이러한 현상이 전통적인 LNG 수송선의 특성, 즉 장기계약과 항로가 정해져 있다는 점에 기인할지라도 LNG 단기거래 시장이 활성화됨에 따라 LNG 수송능력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결국 LNG 수송능력의 부족으로 인해 발생한 LNG 단기거래의 제약이 그 해결 과정에서 다시 단기거래를 확대시키는 결과를 야기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 리포트에서는 그동안의 LNG 단기거래 시장의 활성화 원인을 살펴보고, 2002년 LNG 잉여 수송능력 추정과 잉여 수송능력 증대를 위한 다양한 형태의 시도들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LNG 시장에 미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그동안의 LNG 단기거래 시장의 활성화 원인을 살펴보고, 2002년 LNG 잉여 수송능력 추정과 잉여 수송능력 증대를 위한 다양한 형태의 시도들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LNG 시장에 미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