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SCM의 전략적 Tool - 1. 자동발주시스템(CAO) | ||
|---|---|---|---|
| 저자 | 여동기 | 출처 | 물류신문 |
| 발간일 | 2001-02-19 | 등록일 | 2003-07-01 |
| 파일크기/형태 | 30,208 Byte / .doc | 가격 | 0 |
| 조회수 | 5662 | 다운로드수 | 68 |
| 파일 | SCM의 전략적 Tool - 1. 자동발주시스템(CAO).doc | ||
| 요약 | |||
| 이 자료는 한국NCR 물류컨설턴트 여동기 씨가 물류신문에 기고한 내용이다. <기고자 기고취지> 언제부터인가 우리에겐 "물류"라는 용어보다는 "SCM"이란 용어가 더욱 가까이 다가와 있다. 개념적 구분으론 물류가 기업내부 최적화 지향이라면, SCM은 기업간 최적화로의 발전된 개념으로 정의할 수 있겠다. 그러나 현업 물류기획을 담당하면서 겪게 된 어려움 중의 하나가 SCM을 하고자 하지만, 어떤 방법으로 어떠한 Tool을 적용해야 할 것인가였다. 이에 현업과 컨설팅을 통해 체득한 기술들에 대해 정리해고자 한다. CAO(Computer Assisted Ordering) - 자동발주하는 시스템으로 포스데이터 CAO는 기존의 인력에 의한 발주를 컴퓨터가 자동발주하는 시스템으로 이는 POS데이터 등에 의한 재고의 이동정보, 특수요인(계절성 등), 재고의 입고 정보를 통합하여 컴퓨터가 자동발주하는 시스템이다. CAO관리자는 특수요인 등을 반영하여 특수상황에만 컴퓨터 주문을 조정하게 된다. CRP가 주로 제조업체나 물류센터의 보충발주의 자동화를 의미한다면 CAO는 유통업체 주문관리의 자동화를 의미한다. CAO의 기본정신은 소비자의 니즈에 따라 제판동맹 상에서 기본적으로 부정기 정량 발주하는 QR (Quick Response)의 적시주문(just-in-time ordering)에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