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지식정보

제목 PDA시장 현황과 전망1
저자 출처 소프트뱅크리서치
발간일 2001-05-02 등록일 2003-07-01
파일크기/형태 206,888 Byte / .pdf 가격 0
조회수 5102 다운로드수 189
파일 PDA시장 현황과 전망.pdf
요약
소프트뱅크리서치의 보고서 'PDA시장 현황과 전망'의 요약본이다.

PDA 시장은 향후 휴대폰과 PDA 통합의 가속화, 스트리밍과 PDA의 결합, 유무선 동기화 기술 적용 등 세 가지 연관산업 및 기술분야의 발전과 함께 시장수요가 급속히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PDA 산업은 가장 볼륨이 큰 단말기 생산 및 공급, 소프트웨어(애플리케이션) 및 단말기와 결합한 솔루션, 주변기기 시장으로 세분화할 수 있다. 그러나 단말기를 제외한 타 산업은 단말기 종속적 사업부문에 속하는 이유로, 단말기 보급이 일정규모에 도달할 때까지 급속한 시장성장을 기대할 수 없는 게 사실이다.
국내 단말기를 둘러싼 운영체제 시장은 크게 셀빅OS, 팜OS, 윈도우CE계열의 삼파전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이중 셀빅OS가 시장점유율 60%로 1위를 점하고 있다. 그 뒤를 윈도우CE와 팜OS가 따르고 있다. 이외에 임베디스 리눅스를 사용한 G- MATE의 YOPY, 팜팜테크의 타이눅스 등이 최근에 발표되었으며, 시판중인 타이눅스의 경우 소스 라이센스를 통해 타이눅스 계열의 하드웨어들이 속속 개발되고 있다.
상대적으로 단말기 보급속도가 빠르고, PDA와 휴대폰이 결합한 형태의 스마트폰 등 관련 무선이동기기의 개발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는 미국, 유럽, 일본 등에 국내 소프트웨어 업체들이 주로 진출하고 있다. 이는 아직까지 PDA 단말시장의 규모가 소프트웨어 및 솔루션업체를 소화할 여력이 없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현재 국내 대부분의 PDA용 소프트웨어 개발업체는 게임 소프트웨어 제작 또는 한글 입출력 소프트웨어 개발업체의 두 부류로 양분할 수 있다.
PDA 시장이 본격적으로 활성화된 시점인 2000년 당시 각 주요 업체별 단말기 판매 수량은 약 8만 대로 집계되었으며, ETRI나 국내 하드웨어 업체가 제시한 자료의 2000년 판매 대수의 합과는 약 20~30% 정도의 차이가 발생했다.
국내 PDA 단말기 생산공급업체의 공식 또는 비공식 판대 대수 발표자료와 실제 시장에 유통되는 단말기 대수가 다소 차이가 나며, 98년 자체 한글운영체제를 탑재한 셀빅 시리즈가 현재 압도적으로 시장을 리드하고 있다.
시장 성장률면에 있어서는 2001년을 기점으로 단말기 업체의 신제품 출시 러시가 꾸준히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른 소프트웨어와 솔루션 시장 또한 함께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연평균 54.7%의 실질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됨). 이는 ETRI나 IDC가 발표한 연평균 성장률 예측치에 근접한 수치이며, 향후 국내 PDA 시장수요가 급속도로 확대될 것임을 암시한다. 현재까지 국내에 보급된 PDA 단말기의 총 누적 판매수량은 약 16만 대 규모인 것으로 예측되며, 2001년을 기점으로 폭발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