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지식정보

제목 OECD Information Technology Outlook
저자 OECD 출처 재정경제부
발간일 2002-07-15 등록일 2003-07-01
파일크기/형태 271,042 Byte / .pdf 가격 0
조회수 5072 다운로드수 73
파일 OECD Information Technology Outlook.pdf
요약

OECD는 2002년 6월 27일 ‘2002 OECD Information Technology Outlook’을 발간했다. 이 보고서는 IT산업 동향, S/W, 전자상거래, Digital Divide, 정부의 IT 관련 정책 등 IT 전반을 다루고 있다.

<지역별 및 분야별 ICT시장 동향> 세계 ICT시장에서 OECD의 비중은 01년 현재 87% 수준으로 92년의 92%보다 축소. 2001년중 전체 OECD의 ICT시장에서 미국·EU·일본이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40%, 30%, 20% 수준.
비 OECD국가중 중국, 인도, 브라질의 ICT시장 증가율이 20~35%로 급속한 증가율을 보인 바, 통신시장의 확대가 ICT성장을 주도. 2001년중 중국과 브라질의 ICT시장 규모는 각각 세계 6위와 8위.
OECD내에서 분야별 비중을 보면 통신분야(장비 및 서비스 포함)가 전체 ICT시장의 40%로 가장 크고, IT 서비스가 35%, H/W 16.7%, 팩키지 S/W가 8.8% 수준을 차지.

<시사점>
『ICT 산업의 고도화』과 『ICT 활용의 심화』를 균형있게 추진하여 경제성장과 생산성 향상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 『ICT산업의 고도화』를 위해 R&D투자 활성화, 경쟁여건 조성을 통한 제품 가격하락 유도, 벤처캐피털의 활성화를 지속 추진. 이와 함께 상대적으로 열세에 있으나 향후 성장가능성이 큰 비메모리, S/W산업 등을 중점 육성할 필요.
『ICT활용의 심화』를 위하여 전국민을 대상으로 한 유무선 초고속 인터넷 기반을 지속적으로 확충하는 한편 전자정부의 구현, 중소기업의 e-비즈니스화*를 촉진할 수 있는 방안을 지속적으로 마련하여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 중소기업청의 최근 조사에 의하면 중소기업의 정보화 수준은 대기업의 74% 수준이며, 정보화교육 실시 중소기업의 비중은 36.3%로 대기업(51.4%)보다 크게 낮은 수준.
이와 함께 경제에서 ICT산업의 비중이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므로 ICT관련 통계의 체계적인 정비가 요구됨.
정통부, 통계청, 한국은행 등에서 ICT 관련 통계를 생산하고 있으나 상호협의를 통해 통계의 일관성을 기하고 필요한 통계를 지속적으로 개발하는 노력이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