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Mobile Commerce 집중분석(2)-가치사슬과 비즈니스 모델 | ||
|---|---|---|---|
| 저자 | 박정서 | 출처 | 이비즈그룹 |
| 발간일 | 2001-04-11 | 등록일 | 2003-07-01 |
| 파일크기/형태 | 0 Byte / .pdf | 가격 | 0 |
| 조회수 | 5178 | 다운로드수 | 129 |
| 파일 | Mobile Commerce 집중분석(2)-가치사슬과 비즈니스 모델.pdf | ||
| 요약 | |||
| M-commerce 어플리케이션은 단말기 한계와 무선망 성능상의 제약으로 인해 멀티미디어 서비스보다는 현실적으로 수요가 있으면서 실현가능성이 있는 서비스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많은 통신사업자들이 3G 서비스에서 다양한 신규 사업기회를 기대하고 있지만 이 사업에 투입되는 막대한 투자비용에 걸맞는 수익성있는 서비스 개발과 사업모델이 정립되지 않음에 따라 우리나라를 포함해 전세계적으로 3G 회의론이 확산되고 있다. M-commerce 어플리케이션은 기존의 유선 인터넷 서비스를 무선환경으로 확장시킴과 동시에 개인화, 즉시성, 단순성, 위치정보 같은 무선환경의 독특한 장점(mobile benefits)을 누가 잘 이용하는 가가 승자와 패자를 결정할 것이다. M-commerce 시장에는 통신망사업자, 장비공급업체, 컨텐츠 사업자, 금융서비스 사업자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하고 있으나 어떤 사업자도 단독으로 고객에게 엔드투엔드(end-to-end)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하므로 사업자간 제휴와 다양한 솔루션들의 조합이 요구된다. M-commerce 서비스가 최종 이용자에게 전달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사업자들의 역할이 필요한데 크게 컨텐츠 및 어플리케이션 영역, 시스템과 소프트웨어 영역, 네트웍 및 단말기 영역, 무선포탈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시장형성 초기에는 고객을 장악하고 있는 이동통신사업자가 주도하는 배타적인 ‘울타리안의 정원’(walled garden) 모델에서 시장이 성숙됨에 따라 사업자의 다양한 역할과 이해관계가 정립되는 ‘열린 정원’(open model) 모델로 발전할 것이다. 무선포탈은 M-commerce 서비스에서 고객을 장악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로서 이동통신사업자 입장에서 새로운 수익원일 뿐 아니라 장기적으로 유신인터넷과 같이 네트웍 서비스와 컨텐츠 서비스의 분리가 일어날 경우 컨텐츠 사업에 대한 지배력을 유지하기 위해 놓쳐서는 안될 서비스가 될 것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