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KMI 세계해운전망 - 2002년 정기선해운 | ||
|---|---|---|---|
| 저자 | 출처 | KMI | |
| 발간일 | 0000-00-00 | 등록일 | 2003-07-01 |
| 파일크기/형태 | 668,300 Byte / .pdf | 가격 | 0 |
| 조회수 | 5130 | 다운로드수 | 65 |
| 파일 | KMI 세계해운전망 - 2002년 정기선해운.pdf | ||
| 요약 | |||
한국해양수산개발원에서는 우리나라 해운경제와 세계 해운의 흐름을 분석하여 매년 세계해운전망를 발간하고 있다. 2002년도 세계해운전망 중 정기선 해운전망 부분이다. <정기선해운 개관> 2002년 하반기에 세계경제가 안정을 되찾을 것으로 보여 주요항로 컨테이너물동량은 점차 회복이 예상되지만 세계 컨테이너선대가 초대형 컨테이너선을 중심으로 더 높은 증가세를 유지함에 따라 수급 개선이 어려울 전망이다. 그 결과 세계 정기선해운시장의 만성적인 선복과잉상태가 지속되면서 전반적으로는 뚜렷한 운임 및 용선료 회복을 기대할 수 없는 불안정요인이 상존한다. <북미항로> 하반기 이후 아시아경제의 안정과 미국경제의 회복으로 항로내 물동량이 비교적 안정적인 증가세 를 유지하는 가운데 운항선복량이 더 높은 증가세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되어 평균선적률은 좀 더 하락할 전망 이다. 이에 따라 2002년 북미항로 수출 컨테이너운임은 약보합세가 예상된다. 수입항로의 경우에도 극심한 수 급 불균형에 따른 어려움과 물동량 회복이 미진하여 운임회복을 기대하기 어렵다. <구주항로>수출항로 물동량이 비교적 안정적인 증가세를 나타내지만 항로내 운항선복량 급증으로 평균선적률 은 더욱 하락할 전망이다. 그러나 하반기 이후 아시아경제의 안정과 동지중해 및 중동지역 물동량의 견조한 증가로 운항선대의 실질적인 선적률이 유지되면서 컨테이너운임은 수출 및 수입항로에서 현재 수준의 안정 가 능이 예상된다. <대서양항로> 2002년 대서양항로 컨테이너물동량은 동·서향 항로에서 6.3∼7.5%의 안정적인 증가세가 예상 되어 항로내 수급상황이 2001년과 비슷할 것으로 보임에 따라 동·서 양방향 컨테이너운임은 비교적 안정적 추세가 전망된다. <아시아 역내항로> 2001년 아시아 역내항로 컨테이너 물동량은 1.3%의 저조한 증가세를 기록했으나 2002년 에는 아시아경제 안정 및 중국의 WTO가입에 따른 교역촉진 효과로 7.3%의 견조한 증가세가 전망된다. 이에 따라 한일, 한중, 동남아 및 중동항로에서 완만한 운임상승이 전망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