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eEurope2005 내용분석과 시사점 | ||
|---|---|---|---|
| 저자 | 정진우 | 출처 | 한국전산원 |
| 발간일 | 2002-06-17 | 등록일 | 2003-07-01 |
| 파일크기/형태 | 53,126 Byte / .hwp | 가격 | 0 |
| 조회수 | 4623 | 다운로드수 | 37 |
| 파일 | eEurope2005 내용분석과 시사점.hwp | ||
| 요약 | |||
| 목차 : 1. 연구목적 2. eEurope 2005의 의의 (1) 연혁 (2) 목표 3. eEurope 2005의 주요 내용 분석 (1) 접근법 (2) 정책수단 -온라인 공공서비스 현대화(전자정부,전자교육,전자건강) -역동적 e-비즈니스 환경 -안전한 정보 인프라스트럭처 -브로드밴드 (3) good practice 개발, 분석과 보급 (4) 벤치마킹 (5) e-정책을 위한 조정메커니즘 (6) 재정 4. 시사점 요약 : 주요 선진 국가들은 정보화 사회로의 빠른 전환을 21세기 국제경쟁에서 살아남고 발전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고 국가 전반의 정보화를 앞 다투어 추진하고 있다. 영국의 UKOnline(01.12), 미국의 A Blueprint for New Beginnings (01.2), 일본의 e-Japan(01) 등은 정보화를 통해 국가경영 비전을 제시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2002년 4월에 제3차 정보화촉진기본계획(2002-2006)인 'e-KOREA VISION 2006'을 수립하여 2006년까지 우리 사회를 이끌어갈 정보화 비전 및 주요 정책과제들을 제시했다. 영국과 미국의 정보화계획이 주로 성과중심(Result-oriented) 전략에 초점을 둔 것에 비해 'e-KOREA VISION 2006'은 성과중심은 물론 정보화를 통한 사회통합과 국제협력 강화까지 지향하고 있다. 가장 최근(2002. 5. 28)에 수립된 eEurope 2005의 내용 분석을 통해 우리에게 적용가능한 시사점이 있는지를 파악할 필요성이 대두됐다. 이 자료는 유럽연합의 정보화 목표 및 접근법을 벤치마킹함으로써 우리에게 유익한 교훈과 모범 추진전략 등을 발굴하고 eEurope 2005의 주요 정보화 정책수단들을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중·장기 정보화 전략과제 발굴의 단초를 마련한다는 취지에서 작성됐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