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CMS 솔루션 분석과 도입전략 | ||
|---|---|---|---|
| 저자 | 출처 | 소프트뱅크리서치 | |
| 발간일 | 2001-07-03 | 등록일 | 2003-07-01 |
| 파일크기/형태 | 201,530 Byte / .pdf | 가격 | 0 |
| 조회수 | 4859 | 다운로드수 | 302 |
| 파일 | CMS 솔루션 분석과 도입전략.pdf | ||
| 요약 | |||
컨텐트가 사이트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라는 것에 대해 많은 이들이 공감하고 있다. 만약 어떤 사이트가 컨텐트를 꾸준하게 관리하지 않고 방치해 두거나, 원활한 업그레이드가 이뤄지지 않는다면 고객은 그 기업에 대해 신뢰감을 가질 수 없을 것이다. 이때, 매일 만들어지고 복사되며 곳곳으로 분배되는 컨텐트량은 그야말로 엄청나다. 그러나 제대로 관리되지 못해 빛도 보지 못하고 곧 사장되고 만다. 최근 '컨텐트는 돈', '컨텐트의 유료화', '컨텐트의 다중채널 서비스'를 기치로 가공과 관리를 원하는 기업이 늘어나면서 수요가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는 솔루션이 있다. 바로 컨텐트 관리 시스템(Content Management System)으로 불리는 CMS이다. 이미 북미지역을 중심으로 많은 업체들이 자사 사이트를 CMS 기반으로 전환하고 있다. 컨텐트와 그의 프리젠테이션 양식(디자인)을 분리함으로써, 효율적이고 자동화된 관리를 통해 상당한 비용 절감효과를 맛보고 있으며, 급변하는 시장변화에 빠르고 적절히 응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새로운 수익창출의 활로를 제시하는 등 여러 장점을 제공하는 CMS는 날로 치열해지는 e-business 업체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필수적인 전략 솔루션으로 간주되고 있다. 이에 2004년 경에는 100억 달러가 넘는 시장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예측된다. 반면 국내시장의 경우, 북미지역에 비해 시장발전 추세가 1~2년 정도의 격차를 보이며 2000년 경 부터 CMS 수요가 가시화되기 시작했다. 또한 CMS에 대한 개념정립이 제대로 되어있지 않아 도입을 검토하는 업체측이나 개발하는 업체측에서 CMS를 통해 무엇을 커버해야 하는지에 대한 혼돈이 야기되고 있다. 이는 CMS는 하나의 단순 응용 애플리케이션이 아닌 컨텐트 생명주기에 따른 관리를 포괄하는 여러가지 애플리케이션들이 결합, 통합솔루션으로 나아감에 따라 개념 자체가 진화되어 왔기 때문이다. 또한 각각의 솔루션이 모두 다 같은 기능 영역을 제공하지 않고 다른 특화된 장점을 갖고 있는데, 이는 각각 솔루션 태생별로 발전해 온 경로가 틀리기 때문이기도 하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