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ADB의 2002 아시아개발 전망 보고서 | ||
|---|---|---|---|
| 저자 | 출처 | 재정경제부 | |
| 발간일 | 2002-09-18 | 등록일 | 2003-07-01 |
| 파일크기/형태 | 2,581,700 Byte / .pdf | 가격 | 0 |
| 조회수 | 5446 | 다운로드수 | 1164 |
| 파일 | ADB의 2002 아시아개발 전망 보고서.pdf | ||
| 요약 | |||
| ADB(아시아개발은행)는 2002년 9월 18일 「2002 아시아개발전망 보고서」 수정판(Asian Development Outlook 2002 Update)을 발표했다. 아시아개발전망보고서(ADO)는 ADB가 매년 4월 발간하는 역내 경제현황 및 전망에 관한 보고서다. <동아시아 경제성장 전망> *2002년 상반기에 동아시아 경제는 전반적으로 지난 4월 예상보다 빠르게 성장함 - 금년도 동아시아 전체 경제성장률을 지난 4월초 예상수치인 5.2%보다 0.5%p 상향된 5.7%로 전망 - 동 추세는 금년 남은 기간 중 지속될 것으로 보이나, 위험요인이 증가하고 있음 <한국경제 평가 및 전망> *한국은 금년 상반기중 6.1%의 경제성장률을 기록하였는 바, 이는 동아시아에서 중국(7.8%) 다음으로 높은 수치임 - 이러한 한국경제의 성과는 주로 국내수요의 증가에서 기인 - 한편, 경제회복과 기업 및 금융구조조정에서 비롯된 유연성의 증가가 실업률 감소에 기여 *한국의 금년도 경제성장률을 지난 4월초 예측치인 4.8%에서 1.2%p 상향된 6.0%, 2003년도 경제성장률은 국내수요 감소를 예상하여 당초 6.0%에서 5.8%로 하향 조정 - 금년 상반기 국내수요 증가의 요인이었던 특소세 인하, 주택건설 활성화 정책 등의 효과가 하반기부터 줄어들 것이나, 수출과 고정투자 증가가 소비지출 및 건설투자의 감소를 상쇄할 것 - 물가는 금년 하반기에 단체 임금협상이 집중됨에 따라 상승압력이 증가할 것으로 보임 ·금년에는 3.1%, 2003년에는 3.5%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 - 향후 국내수요가 점진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수출증가가 경제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 ·경상수지는 금년에 50억불 흑자, 내년에는 균형을 이룰 것으로 전망 한편, 동 보고서는 아시아지역 경제성장의 위험요인으로서 *미국경제 회복 지연 및 세계경기침체 가능성에 따른 대외수요 감소, 중동지역 불안 및 계절적 요인으로 인한 유가 급등 등을 들고 있다. 그러나, 향후 경기가 침체되더라도 설비투자는 감소되지 않을 가능성이 크므로, 2001년 경기침체시보다 아시아 지역과 ICT(정보통신기술) 부문에 미치는 영향이 심각하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디플레이션 위험과 금융부문의 불안정성과 관련하여서는 서비스를 비롯한 비교역재 부문의 지속적인 가격상승으로 인하여 전반적인 디플레이션이 일어날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으며 남미 지역 등 타지역과 비교할 경우 아시아 지역에서 금융부문 위기가 도래할 가능성은 매우 적다고 밝히고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