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해외공동물류단지 구축 필요성 및 조성방안 | ||
|---|---|---|---|
| 저자 | 심영섭 | 출처 | 산업연구원 |
| 발간일 | 0000-00-00 | 등록일 | 2003-07-01 |
| 파일크기/형태 | 52,836 Byte / .hwp | 가격 | 0 |
| 조회수 | 5389 | 다운로드수 | 68 |
| 파일 | 해외공동물류단지 구축 필요성 및 조성방안.hwp | ||
| 요약 | |||
| 해외 공동물류단지란 세계 물류의 허브(hub)에 ‘물리적 창고(warehouse)’를 확보하고, 보관과 유통, 마케팅 기능을 결합한 ‘토털물류거점’을 말한다. 여기에서는 단순하게 제품을 저장하는 기능 이외에도, 통관 서비스, 입출고 서비스, 라벨링 및 포장(Packing) 서비스, A/S 및 Call Center 서비스, 운송 서비스 등을 제공하게 된다. 기본적으로는 물품의 단순저장 및 스톡 판매가 주 기능이지만, 부가서비스 활동도 얼마든지 가능하다. 물론 물류창고의 운영은 공동으로 하지만, 마케팅에 관해서는 개별기업이 직접 관장한다. 해외물류단지는 무역상의 거래비용(transaction cost)을 축소시킬 수 있는 중요한 수단 가운데 하나인 무역인프라이다. 최근에는 무역환경의 변화로 현지 물류창고에 대한 수요가 그 어느 때보다도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다만, 중소기업은 해외에 독자적인 물류창고를 확보하기가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전용물류창고(a dedicated warehouse)가 아닌 공동물류창고(a shared warehouse)를 구축하는 것이 경제성 면에서 타당하다. 우선 1단계로 로테르담이나 뉴욕 등 소수의 지역거점에 물류단지를 조성하고, 시범사업(Pilot Project)을 통하여 실제 사업성과를 보아서 단계적으로 확대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