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지식정보

제목 항만배후공간의 효율적 이용에 관한 연구
저자 박태원 외 출처 KMI
발간일 2001-12-31 등록일 2003-07-01
파일크기/형태 2,209,760 Byte / .pdf 가격 0
조회수 5059 다운로드수 81
파일 항만배후공간의 효율적 이용에 관한 연구.pdf
요약

이 자료는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연구팀(연구 책임자 : 박태원)이 2001년도에 수행한 기본연구보고서중 하
나다.

○ 항만배후공간 이용에 관한 이론적 고찰에 있어서는 항만도시 성장의 한계성, 도시와 항만의 공존 가능성,
도시계획과 항만개발계획의 관계 등과 함께 항만배후공간의 개념, 현대적 항만배후공간에 대한 기본구상, 항만
배후시설의 기능적 분류 등을 외국의 효율적 이용 사례와 함께 개관했다.
○ 항만배후공간의 효율적 이용에 따르는 편익은, 항만물류 비용 및 시간의 절약, 각종 자원의 절감, 항만 화
물처리능력의 증대 및 경쟁력 제고, 지역갈등의 해소 등으로 나타났다.
○ 항만배후공간 이용에 대한 영향요인으로는, 항만의 물류거점화 전략과 관세자유지역의 도입, 물류기능 중심
의 환경친화적 개발, 선박기술의 혁신 및 항만의 대형화, 항만기능의 고도화 및 하역시스템의 첨단화, 항만의
민영화 및 항만운영의 글로벌화, 항만개발 및 관리체제 변화와 항만기본계획 재정비 등 국내정책의 변화 등이
제시되었다.
○ 항만배후공간 현황과 관련해서는, 부산항의 일반부두, 8부두 등 항만시설과 용당지역 국유부지, ODCY, 자
성대 및 8부두 배후지역 등을 중심으로 조사·분석했으며, 특히 부산항 컨테이너장치장(CY)의 수급을 2006년
까지 전망했음. 인천항은 선거내 내항과 남항, 연안항, 북항 등 외항의 항만시설 및 항만배후공간의 현황과 항
만시설의 전반적인 수급전망을 검토했다.
○ 부산 및 인천항 항만배후공간의 문제점으로는, 부산항의 경우 항만배후공간의 부족으로 ODCY에 대한 의
존도가 증대되어 있으며, 결과적으로 부산항 물류체계를 비효율화시키는 중대한 부작용을 야기하고 있음. 인천
항은 갑문시설 운영에 따른 인천내항의 성장한계성이 항만성장의 중요한 장애요인으로 평가되고 있음. 또한
기존 항만시설 및 배후공간구조의 불균형과 배후공간 및 부지의 부족은 인천항 항만물류 및 도시지역 교통체
계의 심각한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