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지식정보

제목 한중일의 품목별 수출성과 비교 분석
저자 장상식 출처 무역연구소
발간일 0000-00-00 등록일 2003-07-01
파일크기/형태 0 Byte / .hwp 가격 0
조회수 5426 다운로드수 89
파일 한중일의 품목별 수출성과 비교 분석.hwp
요약
한 중 일 3개국의 상위 50개 수출품목을 분석한 결과 한국, 중국은 주도품목의 비중이, 일본은 상실품목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중국은 50개 품목 모두 주도 및 역주도 영역에 포함되어 모든 품목에서 경쟁력이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개국의 상위 50대 수출품목중 15개 중복 품목을 분석한 결과, 대체로 일본⇒ 한국 ⇒ 중국으로 수출주도 품목의 이전 현상이 나타났다.
한편 한국과 중국의 상위 50위 수출품목중 중복품목은 총 25개로 조사됐다.
*한국 주도 / 중국 주도 품목 : 9개(통신장비, 전자기계부품, 컴퓨터) ⇒ 향후 치열한 경합 예상
*한국 상실 / 중국 주도(6개) : 전자관, 음성재생기, TV 등 ⇒ 수요시장 산업에서 범용제품을 중심으로 한국의 경쟁력 약화
*한국 쇠퇴 / 중국 역주도(2개) : 인조섬유직물, 신발 등 ⇒ 수요정체 산업에서 한국의 경쟁력 기반이 크게 하락
*한국 역주도 / 중국 역주도(8개) : 선박, 가전, 자동차부품, 섬유사 등 ⇒ 현재 치열한 경합 진행중
한국과 일본의 상위 50위 수출품목중 중복품목은 총 30개로 조사됐다.
*한국 주도 / 일본 상실(5개) : 통신장비, 전자기계부품, 컴퓨터 등 ⇒ 한국이 고급품시장에서 일본을 추격 또는 추월
*한국 상실 / 일본 주도(5개) : 승용차, 음성재생기, TV 등 ⇒ 한국이 저가품→고급품으로 이동중이나 아직 일본에 열세
*한국 역주도 / 일본 쇠퇴(7개) : 자동차부품, 가열냉각, 평판압연 등 ⇒ 가격경쟁력 우위 및 일본의 부진을 틈타 한국의 점유율 확대
*한국 역주도 / 일본 역주도(6개) : 선박, 탄화수소, 1차플라스틱 등 ⇒ 수요정체산업에서 현재 치열한 접전
앞으로 중국과의 경쟁심화로 세계수요 성장산업은 물론 선진국이 경쟁력을 상실해 가는 틈새시장에서도 입지 확보가 쉽지 않다는 점을 고려할 때 성장산업 분야에 초점을 맞춘 수출산업 재편이 필요하다.
(1) 단기적으로는 경쟁력 하락방지 및 경쟁불리 요인 제거, 틈새산업 개발 및 신규산업 이동이 필요하며 (2) 또한 수요변화에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수출벤처기업, 수출 중소기업의 활성화가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