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하반기 원화 강세 속 산업 활동 전망 | ||
|---|---|---|---|
| 저자 | 유병규 | 출처 | 현대경제연구원 |
| 발간일 | 2002-07-22 | 등록일 | 2003-07-01 |
| 파일크기/형태 | 128,682 Byte / .hwp | 가격 | 0 |
| 조회수 | 5229 | 다운로드수 | 39 |
| 파일 | 하반기 원화 강세 속 산업 활동 전망.hwp | ||
| 요약 | |||
| 1. 원화 강세의 영향 <주요 국가별 환율 추이 비교> 원/달러 환율이 엔화, 유로화 등 선진국 통화와 유사한 절상률을 보인 반면, 위안화, 대만 달러 등 수출 경쟁국의 통화보다는 높은 절상률을 나타냄 <고부가가치화 지수 비교> *의미 : 고부가가치화 지수는 수출 단가 지수를 수출 물가 지수로 나눈 값으로 보통 1보다 높을 때 부가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함 *현황 : 외환 위기 이후 수출 물가는 계속해서 상승한 반면, 수출 단가는 지속적으로 하락함 *평가 : 수출 물가 상승 및 수출 단가 하락에 따라 고부가가치화 지수 추이를 보면 국내 주력 상품들 대부분이 1997년보다 고부가가치화 지수가 낮아진 것으로 분석됨 <원화 강세의 문제점> 원화 환율은 선진국 통화와 동조화 현상을 나타내는 가운데 경쟁국에 비해서는 높은 절상 속도를 보이고 있는데 비해, 주력 수출 업종의 고부가가치화 정도는 매우 미흡하여 원화 강세가 지속될 경우에 향후 국내 수출 확대에 큰 어려움이 예상됨 2. 최근 산업 동향과 하반기 전망 <최근 산업 동향> *경기 회복세 지속 : 국내외 경기 회복으로 대부분 업종이 2001년 하반기의 부진세로부터 점차 벗어나고 있음 *업종별 경기 차별화 : 업종별로 특성에 따라 경기 회복 속도에서 차이를 나타냄 <하반기 산업 전망> *하반기 이후 경기 침체 우려 : 원화 절상 기조가 지속될 경우에 조선, 자동차, 철강 등 국내 주력 산업의 수출 부진과 채산성 악화로 산업 경기 침체가 우려됨 3. 시사점과 과제 <시사점> 원화 환율의 강세 지속에 따라 산업 경기의 호조세가 약화될 가능성이 높아짐 <과제> 정부는 원화 강세에 따르는 기업들의 채산성 악화를 보전할 수 있는 금리 하향 안정 등의 정책 기조를 유지해야 할 것임. 한편 기업은 제품 경쟁력 강화, 수익성 제고, 환위험 회피 방안과 같은 대응책을 수립하여 중장기적으로 추진하여할 것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