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지식정보

제목 포장산업 실태조사 및 발전방향
저자 출처 산업자원부
발간일 0000-00-00 등록일 2003-07-01
파일크기/형태 141,014 Byte / .hwp 가격 0
조회수 4783 다운로드수 144
파일 포장산업 실태조사 및 발전방향.hwp
요약

우리나라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4%나 되면서 그 동안 실태조차 파악되지 않고 있던 포장산업의 면모가 모두 밝혀지고, 이를 토대로 포장산업이 가지고 있던 문제들을 해결하여 선진국형으로 도약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
이는 산업자원부가 2000년 6월초에 발표한 『포장산업의 실태조사와 발전방향』에서 담고 있는 내용이다.
동 보고서는 90년대 이후 우리나라의 포장산업에 관한 종합적인 보고서로는 최초로 발행되는 것으로 동 보고서는 e-commerce시대와 환경친화적 산업시대를 맞이하여 포장산업이 산업의 주요한 축으로 재인식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강조하면서 선진국은 물론 중국·태국 등 동남아 국가에 비해서도 낙후되어 있는 우리나라 포장산업이 획기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정책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산업자원부의 의뢰로 99년10월부터 한국포장개발연구원(대표 : 이대길)이 우리나라 포장산업에 대해 조사연구하여 최종결과로 제출한「포장산업 실태조사와 발전방향 보고서」에서 나타난 포장의 개념으로는 고전적 의미인 제품의 보호성, 경제성, 보관·운반의 편의성 이외에 재사용·재활용이 가능하고 환경친화적이면서 기능성을 부여하여 제품의 부가가치를 향상시키는 기법 또는 시행을 말한다.
동 보고서에서 나타난 포장산업의 제조업상 위치 및 변화는 다음과 같다. 1998년 기준 제조업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생산액으로는 2.4%, 사업체수로는 4.9%, 종원업원수로는 3.4%이며 생산액은 94년 83,587억원에서 98년 102,746억원으로 연평균 5.3% 증가되었으며, 업체수로는 94년 4,187개 업체에서 98년 3,902업체로 연평균 1.7% 감소하였고, 종업원수는 94년 97,590명에서 98년 78,021명으로 감소하여 연평균 5.4%가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