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지식정보

제목 컴포넌트 기반의 e-business 개발방법론과 모델링
저자 김준 출처 이비즈그룹
발간일 0000-00-00 등록일 2003-07-01
파일크기/형태 2,313,570 Byte / .pdf 가격 0
조회수 5162 다운로드수 105
파일 컴포넌트 기반의 e-business 개발방법론과 모델링.pdf
요약
현재 어플리케이션 서버 개발의 컴포넌트 기술과 표준들은 OMG의 CCM,
Microsoft의 COM+, 그리고 J2EE 기반의 EJB(Enterprise JavaBeans),
JSP(JavaServer Pages)등이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인터넷 기반 표준인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소프트웨어 위기(Software Crisis)와 객체지향 개발방법론의 한계성이 나타남에 따
라 CBD는 “컴포넌트” 라는 소프트웨어 모듈의 재사용성과 독립성을 보장함으로써
소프트웨어의 복잡성과 생산성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일종의 새로운 개발 패러
다임을 제시하고 있다.

컴포넌트는 상호협의된 명세서의 인터페이스들과 충분히 설명되어지고 종속적인
상황들로 구성된 일종의 유닛이다. 여기서 종속적인 상황들이란 요구된 인터페이
스들과 실행가능한 플랫폼들의 명세서이다. 그리고 하나의 컴포넌트는 써드파티
제품들에 의해 구성되어지는 것도 필수 사항이다. 독립적인 개발을 목적으로 한
컴포넌트들은 바이너리 유닛의 형태이어야 한다.

각각의 컴포넌트들이 기대되어지는 행위들을 어떻게 설명할 것이며, 이런 컴포넌
트 아키텍처들을 어떤 방법으로 적절히 조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할 것인가?
이것을 해결하기 위한 컴포넌트 기반 개발 방법론으로는 Catalysis Methodology,
Advisor(CBD96) Methodology, SELECT Perspective Methodology, RUP Methodology,
UML Components Methodology 등이 있다.

컴포넌트 기반 방법론은 표준화된 컴포넌트 모델링의 독창적인 방법은 찾아 보기
어렵고, 각자 기존의 방법을 수정하여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모델링들의 내용은
크게 비즈니스 모델링, 비즈니스 타입 모델링, 유즈 케이스 모델링, 컴포넌트 아키
텍처 모델링, 협업 모델링, 인터페이스 스펙 모델링으로 나누어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