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차세대 성장산업 IT산업 발전전략 | ||
|---|---|---|---|
| 저자 | 출처 | 과학기술부 | |
| 발간일 | 0000-00-00 | 등록일 | 2003-07-01 |
| 파일크기/형태 | 51,622 Byte / .hwp | 가격 | 0 |
| 조회수 | 5077 | 다운로드수 | 49 |
| 파일 | 차세대 성장산업 IT산업 발전전략.hwp | ||
| 요약 | |||
| □ '90년대 이후 디지털 기술과 인터넷의 발전으로 농업혁명, 산업혁명에 이은 인류 역사상 3번째 대변혁인 「IT혁명」진행중 - 美 '95-'00 평균성장률 : 非IT(2.3%), IT(41.9%) - 美 '00년 산업생산지수('92년 100기준) : 非IT(122.6), IT(1194.6) □ 그러나 2000년말 나스닥 폭락 등 미국의 경기침체에 따라 IT부문이 핵심을 이루는 '新經濟(New Economy)'에 대한 일부 懷疑論이 대두 - 美 IT 투자증가율 : ('00년 1/4분기) 7.1% → ('01년 1/4분기) -2.5% - 美 GDP 증가율 : ('00년 1/4분기) 4.8% → ('01년 1/4분기) 1.3% □ 이러한 IT 환경변화에도 불구하고 주요 선진국은 IT에 대한 국가전략 기조를 계속 유지 또는 강화 o 미국 : 정보화에 대한 투자 확대라는 정책기조는 유지하되, 活用 위주의 정보화 전략을 수립 ※ Clinton 정부가 주로 정보 인프라 구축에 초점을 맞추었는데 비해, Bush 정부는 조달정보화, 전자정부 구축 등 활용측면에 역점을 두는 비전을 발표(2001. 2. Bush 대통령의 [A Blueprint for New Beginnings]) o 일본 : 일본 정부는 장기 경기침체, IT·BT 등 첨단기술 분야에서 미국·EU 등과 격차 확대 등에 危機意識을 느끼고, 2001. 1월 [e-Japan] 戰略을 발표 ※ 총리를 본부장으로 하는 [IT전략본부]를 출범시키고, 5년내 3천만 가구 고속 인터넷 연결, 전자정부 구현, 전자상거래 활성화, IT인력 양성 등 중점 추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