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지식정보

제목 지령200호 특집 - 물류환경변화와 대응전략 - 회수물류
저자 출처 물류신문
발간일 2001-10-29 등록일 2003-07-01
파일크기/형태 27,648 Byte / .doc 가격 0
조회수 5355 다운로드수 44
파일 지령200호 특집 - 물류환경변화와 대응전략 - 회수물류.doc
요약
국제적으로 Green 라운드가 강화되고 있고 우리나라에도 '환경문제가 무엇보다 우선한다'는 인식이 팽배해 있다.
이 같은 산업활동의 환경변화가 조달물류, 생산물류, 수배송 물류 등 기존 물류활동의 뒷전에 놓여 있던 회수물류의 가치를 도드라지게 하고 있다.
이제 물류활동은 (원부자재의 조달에서 소비자 손까지 이르는) '편도'가 아니라 '왕복'의 차원에서 이해되고 이루어져야 한다. 직선적 행위가 아니라 한 바퀴를 돌아 제자리로 돌아오는 '원'의 개념에서 이해되어야 한다는 얘기다. 회수물류 활동까지를 포함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회수물류(reverse logistics)란 수리부품의 수송, 하자가 있는 제품이나 불량 제품의 회수, 반송품의 회수 등을 포함한 물류활동을 말한다. 제품회수, 리사이클링, 포장재의 재사용, 폐기물 처리, 재생자원의 활용, 수리 및 재제조 등의 과정이 이 속에 모두 포함된다.
회수물류(반품물류 폐기물류 포함)를 '정맥(靜脈)물류'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動脈만 튼튼해서는, 심장에서 온 몸으로 나가는 피만 잘 흘러서는 사람이 살 수 없는 것처럼 회수물류를 외면한 물류활동은 기업의 물류생명력을 키우는 데 큰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의미에서 쓰여진 용어다.

"對EU 수출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품목이 직.간접적으로 EU의 환경조치 대상이 되고 있는 만큼 국내의 對유럽 수출기업들도 회수물류에 신경쓰라"는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시장조사처 구아러시아부의 경고가 의미하는 바는 크다.
이제 제조.판매.수출업체들도 물류전략을 수립할 때 회수물류까지를 염두에 두지 않으면 안 되는 환경에 놓이게 됐다.
물류서비스 기업들도 회수물류를 공급연쇄관리(SCM) 시스템 속에 회수물류를 포함시킨 서비스 체계를 구축해야만 고객을 만족시킬 수 있다.
택배, 소화물운송 등 내륙운송업체, 수출입화물을 수송하는 해운기업과 항공기업, 연안해송 서비스업체들도 고객만족 극대화를 위해서는 회수물류를 염두에 둔 SCM 체제를 갖추어야 한다는 것이다. 고객들 역시 그 같은 완벽한 물류체계를 구축한 물류업체들을 선호하게 마련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