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지식정보

제목 중국WTO가입과 활용방안
저자 출처 산업자원부
발간일 2001-11-27 등록일 2003-07-01
파일크기/형태 49,771 Byte / .hwp 가격 0
조회수 4801 다운로드수 50
파일 중국WTO가입과 활용방안.hwp
요약
2001년 11월 10일 WTO가입을 계기로 세계의 주목을 받고 있는 중국경제의 향후 변화를 전망하고 우리산업의 대응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세미나가 11월 26일 COEX에서 개최되었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중국의 WTO 가입 등 중국경제의 부상에 따른 중장기 중국경제 전망과 한·중 경제교류 전망 발표에 이어, 섬유·기계·석유화학·자동차·철강·IT 등 주요 산업별 중국진출 확대방안과 경쟁력 강화방안이 발표되고 심도 있게 논의되었다.

<대책반 연구에서 제시된 주요 대응방안>

① 韓中간 경쟁심화 문제는 양국간 보완관계의 적절한 활용을 토대로 대응(10차 5개년 계획 추진, WTO가입, 2008년 올림픽 개최 등에 따른 중국의 수입수요 증대로 韓中간 보완관계 확대 전망)
② 중국시장 진출의 경쟁상대는 다국적 기업 및 중국내 선발기업임을 인식, 중국경제를 보는 시각을 재정립하고 연구시스템을 강화
③ 대내·대외정책의 입안과정에서 '중국변수'의 중요도 상향 조정
④ 중국의 경제권역별, 주요 산업별 체계적인 정보의 수집·관리·분석 등 對중국 연구·정보인프라 정비 등이 제시되었음

<산업별 대응방안>

① 전자·섬유 등은 세부 품목별 對中 경쟁력을 분석하여 경쟁우위 품목(예 : DVD·TFT-LCD 등 디지털 가전, 직물 등)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R&D 강화를 통해 고급화 전략을 추구한다. 경합 또는 열위품목(예 : TV·VTR 등 재래가전, 의류 등)에 대해서는 중국 소비자의 수요특성에 빠르게 대처하고 현지 홍보 및 마케팅을 강화하는 한편, 소재·부품의 품질향상을 통한 제품의 고부가가치화를 추구하고 아울러, 중국 현지투자 확대를 통한 비용경쟁력 향상 및 시장장벽 해소 노력이 필요
② 신발의 경우도 중국제품과의 차별화가 가능한 기능성 특수화 중심의 기술개발 및 수출확대를 추진하고, 운동화 등 가격경쟁이 어려운 품목은 디자인 개발, 소재의 고급화, 마케팅 강화 등이 필요
③ 조선은 R&D 투자확대를 통한 경쟁력 우위 지속이, 반도체는 R&D 투자확대는 물론 급성장하는 중국시장 진출확대를 위한 시장개척단 파견 등을 활성화할 필요
④ 자동차는 현지업체와의 합작 조립생산을 확대하고 중국 중앙정부의 승용차 생산허가 획득에 주력하는 한편, 장기적으로 수출증대에 대비한 마케팅 강화와 판매·서비스망 확보 노력이 필요. 또한, 중국의 부품수입 증가에 대비한 기술력 확보가 필요
⑤ 석유화학은 최대 수출시장인 중국이 원료의 자급율 향상을 위해 2010년까지 증설을 추진중에 있어 이에 대한 대응이 필요
⑥ 기계는 공작기계·금형·건설기계·냉동공조 등 對中 비교 우위 분야에 대한 target 마케팅을 강화하고, 중국의 기계부품 생산능력 증대에 대응하여 對中투자 확대를 통해 국내 기계 부품 산업의 현지화를 추구하며, 발전소 건설 프로젝트 수주활동 강화 등을 통해 성장잠재력이 큰 중국의 거대 발전기자재 시장 진출을 확대할 필요
⑦ 철강은 가격 및 품질을 고려한 비교우위를 유지하기 위한 신기술 및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 노력, 증가하는 통상마찰 방지를 위한 양국 업계간 기술·인력 교류 등의 협력 확대, 중국의 10차 5개년 계획·서부대개발 등에 따른 고급강재 수요증대에 대응한 對中 마케팅 강화가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