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중국 WTO 가입에 따른 해양수산부문 종합 대응방안 | ||
|---|---|---|---|
| 저자 | 출처 | 해양수산부 | |
| 발간일 | 0000-00-00 | 등록일 | 2003-07-01 |
| 파일크기/형태 | 86,248 Byte / .hwp | 가격 | 0 |
| 조회수 | 4712 | 다운로드수 | 47 |
| 파일 | 중국 WTO 가입에 따른 해양수산부문 종합 대응방안.hwp | ||
| 요약 | |||
| 해양수산부 대중국 대책팀(서정호 해운물류국장 등 50명)에서는 중국이 WTO 가입이후 우리나라 해운과 수산분야 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앞으로 중국의 제도와 환경, 시장의 변화를 예측해서 이에 대한 중·장기 종합대책을 수립, 정부종합대책에 반영 하여 긴밀하게 협조 추진해 나가기로 하였다. 이번 종합대응방안은 크게 해운·항만분야와 수산, 해양과학·환경 분야로 구분해서 우리 외항선사나 물류기업, 수산업체 등의 중국시장 진출·활용이 극대화, 가시화 될 수 있도록 정부의 지원대책과 민간부문대책, 교류협력 증진대책 위주로 수립되었다. 해운·항만분야의 경우 ◇해운세제개편과 용이한 선박·선원확보를 위한 선사지원대책과 ◇대중국 환적화물 유치전략과 지원방안, ◇다국적기업의 거점 물류센터유치를 위한 배후물류단지 확보대책, ◇중국 상해와 청도에 해양수산관 신설, ◇해운공동시장 조성과 WTO협상 등을 위한 동북아 해운협의회(NEAMCO) 창설 등이 있고, 수산분야의 경우 ◇중국수산물 수출시장 계획 및 확대방안, ◇감천항 One-Stop 수산물수출단지조성, ◇수도권 및 동북아 수산물유통단지 조성방안, ◇중국의 조정관세 인하요구에 대한 대응방안 등이며, 해양과학·환경분야는 ◇한·중 해양과학 공동연구센터 활성화와 해양과학기술의 산업화 방안 등이다. 또한 이러한 종합대응방안을 구체화 해 나가기 위해서 내년 1월까지 해양수산부내에 홈페이지를 별도로 구축해서 정부의 대책과 정책방향을 제시하고, 모든 정보를 교환·공유토록 해 나가고 여론광장 을 통하여 우리선사, 수산업체 등의 애로 및 건의사항을 수렴해 가면서 지속적으로 대책을 보완·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