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지식정보

제목 주력 수출품목의 제품싸이클 현황
저자 출처 무역협회
발간일 2002-07-22 등록일 2003-07-01
파일크기/형태 184,503 Byte / .hwp 가격 0
조회수 4974 다운로드수 50
파일 주력 수출품목의 제품싸이클 현황.hwp
요약

주력 수출품 '노쇠화' 뚜렷

주력 수출품의 제품싸이클 중 성숙기와 도입기 품목수가 감소한 반면 쇠퇴기는 증가하여 신제품 개발을 통한 경쟁력 제고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 무역연구소(소장 玄旿錫)가 '88∼'01년(14년)동안 주력 수출품(각연도 전체 수출액의 0.1%이상 품목, 331개)의 수출실적을 근거로 제품싸이클(HS6단위)'을 분석한 보고서에 따르면 성숙기와 도입기 품목은 '89년에 각각 153개와 25개에서 '01년 111개와 10개로 감소했다. 또한 성숙기 품목은 같은 기간 102개에서 26개로 4분의 1정도 줄었다. 반면 쇠퇴기 품목은 2개에서 183개로 늘어났다.
이 같은 분석은 미국의 경제학자 버논이 주장한 제품싸이클가설신제품은 출생으로부터 성장기를 거쳐 노년기에 이른다)을 준용한 것으로 경쟁력 단계에 따라 도입기·성장기·성숙기·쇠퇴기로 구분한다.
도입기 품목수은 '89∼'96년 기간동안 매우 활발하게 증가하였으나 그 이후에는 10개 이하로 감소하여 최근 새로운 주력 수출품의 부상이 더딘 것으로 나타났다.
성장기 품목수는 '91∼'93년에는 매년 170개 안팎을 유지하였으나 '00년 이후에는 110개선으로 크게 감소했으며, 성숙기 품목수는 지난 '89년에 102개에 달했으나 '01년에는 26개에 불과하여 최근 14년 동안 4분의 1정도로 감소하였다. '01년 말 현재 성장기와 성숙기 품목은 전기·기계류가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쇠퇴기 품목은 '95년까지 100개를 밑돌았으나 '96년에 131개로 늘어난 데 이어 지난해에는 183개를 기록했다.
전체적인 주력 수출품목수가 감소하면서 일부 품목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다. '88년 179개였던 수출주도 품목수가 지난해에는 147개로 32개(17.9%)가 감소하면서 상위 5대 품목이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3.7%에서 26.6%로 2배정도 높아졌다.
이에 따라 우리 나라 신제품 개발과 기술혁신을 통해 주력 품목수를 늘리거나 기존 제품의 대외경쟁력을 제고하는데 수출업체들이 적극 나서야 하며 이에 대한 정부의 정책적 뒷받침도 강화되어야 할 것으로 지적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