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주5일 근무제와 유통업 대응전략 | ||
|---|---|---|---|
| 저자 | 출처 | 대한상의 | |
| 발간일 | 0000-00-00 | 등록일 | 2003-07-01 |
| 파일크기/형태 | 129,722 Byte / .hwp | 가격 | 0 |
| 조회수 | 4667 | 다운로드수 | 63 |
| 파일 | 주5일 근무제와 유통업 대응전략.hwp | ||
| 요약 | |||
Ⅰ. 주5일 근무제 실시로 인한 영향 …………………. 1 1. 사회·문화적 영향 ……………………………………. 1 2. 경제적 영향 …………………………………………. 8 3.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따른 쇼핑방식의 변화 ………. 11 Ⅱ. 주5일 근무제와 유통업 ……………………….. 16 1. 유통업태별 영향 …………………………………….. 17 2. 머천다이징의 변화 …………………………………… 19 3. 입지 우위의 변화 ……………………………………. 21 4. 복합서비스의 중요성 증대 …………………………….. 23 Ⅲ. 외국의 사례 ………………………………… 25 1. 미국 ………………………………………………. 25 2. 일본 ………………………………………………. 28 3. 캐나다 …………………………………………….. 30 4. 중국 ………………………………………………. 32 Ⅳ. 업계의 대응전략 및 정부의 정책방향 ……………. 33 1. 업계의 대응전략 …………………………………….. 33 2. 정부의 정책방향 …………………………………….. 44 참고문헌 ………………………………………. 46 4월중 정부부처의 토요휴무(월1회, 4번째주) 실시와 7월중 금융계의 주5일 근무제 시행발표로 "주5일 근무제"가 본격화될 것으로 보임에 따라 유통업계에도 새로운 변화의 바람이 일 것으로 예상된다. 즉, 새로운 소비자 라이프 스타일에 걸맞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복합쇼핑 문화공간이 향후 소비자들에게 전폭적인 지지를 받으며 기존의 백화점과 재래시장 위주에서 복합쇼핑몰, 할인점, 전문점 등 신업태의 성장이 가속화 될 것으로 보인다. 대한상공회의소가 발표한 "주5일 근무제와 유통업의 대응전략" 보고서에 따르면 주5일 근무제 확산은 사회·경제·문화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영향을 끼침은 물론,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을 더욱더 다양하고 복잡한 형태로 변화시켜 소비자의 쇼핑방식에도 큰 변화를 가져와 유통업계도 이러한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전략수립과 더불어 정부의 정책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주5일 근무제로 디지털 시대의 소비자 라이프 스타일(개인주의적, 참여적, 독립적, 지식화 등)이 더욱 복잡하고 다양한 방식으로의 변모가 예상되며, 이에 따른 쇼핑방식도 단순한 소비행위를 벗어나 원스톱 쇼핑, 시간소모형 소비, 자기 만족과 개성추구 등이 소비의 주된 목표가 될 전망이다. 한편, 주요국별로 주5일 근무제를 도입 후 그 영향을 살펴보면,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 및 쇼핑방식의 급격한 변화, 기존 백화점의 영업전략의 변화, 할인점, 전문점 등 신업태의 본격 성장이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급격한 트랜드에 대응하여 유통업계는 엔터테인먼트를 중심으로 한 복합기능의 결합 등 기존 사업체질을 개선하고, 성장이 기대되는 카테고리 킬러 등 신업태에 대한 과감한 투자 등 다양한 전략 모색이 필요하며, 정부차원에서 신업태의 조기 정착을 위한 제도적 지원 및 유통업의 급속한 변화를 수용하는 정책 기조의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제시되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