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제2차 국가지리정보체계 기본 계획(2001-2005) | ||
|---|---|---|---|
| 저자 | 출처 | 국가지리정보체계추진위 | |
| 발간일 | 0000-00-00 | 등록일 | 2003-07-01 |
| 파일크기/형태 | 152,480 Byte / .hwp | 가격 | 0 |
| 조회수 | 4804 | 다운로드수 | 37 |
| 파일 | 제2차 국가지리정보체계 기본 계획(2001-2005).hwp | ||
| 요약 | |||
| <제2차 국가GIS기본계획의 목표 및 추진전략> A. 국가GIS 기본계획의 비젼 ◇ 제1차 국가GIS 사업으로 국토정보화의 기반준비 ◇ 제2차 국가GIS 사업을 통해 국가공간정보기반을 확고히 마련하고 범국민적 유통·활용을 정착 ⇒ 국가공간정보기반(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을 확충하여 2005년까지 디지털 국토를 실현 B. 기본계획의 부문별 주요목표 1. 국가공간정보기반 확충으로 디지털 국토 초석 마련 *기본지리정보 구축·기준점 정비 등을 추진하여 국가공간정보 인프라를 확충하고 국토정보화의 기틀을 마련 2. 지리정보의 전국민 인터넷 유통·활용 *전국적인 지리정보 유통망의 구축과 유통관리기구 설립 *인터넷을 활용한 지리정보 집적지(유통체계, 전자도서관) 조성 등 개방형·국민중심 정보공급채널 마련 3. 국부창출의 원천인 핵심기술개발과 산업의 육성 *산학연 GIS 브레인풀 구성, 지리정보 수집·처리·유통·활용 전분야 핵심원천기술 개발지원 및 국가기술정보망 구축 *유망기술기업 등에 대해 보다나은 사업환경을 조성하고 기술·인력·판매 등의 지원강화 *직접지원위주 → 경쟁과 인센티브에 의한 민관협력지원 추진 4. 표준화·인력양성·지원연구 등 기반환경 지속개선 *국가공간정보기반에 걸맞는 지리정보 표준화로 공동활용 및 유통 활성화 *창의적·미래지향적인 GIS 인재를 육성하고 현재와 미래 수요자를 감안한 장·단기 교육프로그램 개발 *산학연 공동·경쟁·기술연계 강화에 의한 지원연구 확대 *GIS 활성화의 걸림돌 규제를 개선하여 경쟁력 있는 아이디어와 기업들이 마음껏 성장할 수 있는 여건마련 C. 4대 중점 추진전략 【국가공간정보기반 확충·유통체계의 완비】국가공간정보인프라의 확충과 인터넷에 의한 보급을 통해 생활 각분야 정보화 파급효과를 극대화 【범국가 차원의 강력한 지원】범국가 차원의 지속적이고 강력한 정책·예산·제도지원을 통해 사업의 추진기틀을 마련 【국가-민간-시스템-업무간 상호협력체계 강화】각 부처별 사업의 유기적 연계, 민관 협력기회의 확대 등 상호협력체계를 강화하여 사업 투자효과 제고 【국민중심 서비스 극대화】공급자 위주에서 벗어나 국민중심 서비스로의 사업 추진을 통해 국민과 함께하는 국토정보화 여건확충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