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지식정보

제목 정보화 추진방향의 전환
저자 출처 한국전산원
발간일 2002-07-02 등록일 2003-07-01
파일크기/형태 47,779 Byte / .hwp 가격 0
조회수 4461 다운로드수 36
파일 정보화 추진방향의 전환.hwp
요약


그동안의 정보화는 초고속통신망 구축과 PC보급 등과 같은 하드웨어 기반 중심으로 이루어졌지만, ICT활용으로의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본 보고서에서는 그동안 얻은 인터넷혁명의 효과가 모두 소진되었다는 의미를 가지는 S&P500지수 1000 붕괴 시점에서 미국의 경험을 중심으로 정보화가 기반중심에서 활용중심으로 신속히 전환되어야 하는 이유를 설명했다.(※ 2002년 6월 21일 S&P500지수는 1000선 붕괴)
미국에서 1990년대 후반 발생한 호황의 상당부분은 컴퓨터 등 하드웨어 중심의 ICT생산산업에서 발생하였지만, ICT활용의 성과는 기대만큼 크고 신속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불확실한 ICT투자성과는 신경제에 대한 회의를 가지는 원인으로 작용하여 기업의 투자감소로 연결되며 기업의 ICT투자 감소는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로 연결된다. 이러한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는 ICT생산산업의 활성화가 지식경제의 구현으로 연결되지 못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한국도 정부주도의 노력으로 세계 수준의 정보화기반을 구축하고 있다. 정보화 과정에서 ICT생산산업의 육성이 이루어져 경제성장에 기여하는 바가 절대적으로, 국내에서 ICT생산산업의 산출감소는 심각한 경기침체로 연결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국내에서 ICT산출감소와 경기침체의 방지를 위해 새로운 하드웨어 장비의 개발, 외국 수출시장의 개척 등과 같이 우리나라가 외국과 비교하여 경쟁우위를 가진 ICT생산산업의 산출을 지속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또한 ICT활용으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분야의 개발과 지식기반경제의 구현, 다시말해 온라인 거래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2차 정보화기반의 확충이 시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