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전자상거래 상품통합분류체계 구축 | ||
|---|---|---|---|
| 저자 | 출처 | 산업자원부 | |
| 발간일 | 2000-10-09 | 등록일 | 2003-07-01 |
| 파일크기/형태 | 47,562 Byte / .hwp | 가격 | 0 |
| 조회수 | 5027 | 다운로드수 | 40 |
| 파일 | 전자상거래 상품통합분류체계 구축.hwp | ||
| 요약 | |||
| 전자상거래 상품통합분류체계 본격착수 분류체계운영위 발족, 국제표준활동 강화 국내 전자상거래 상품분류체계분야의 통합표준개발, 체계적인 운영, 연구, 확산을 담당할 분류체계운영위원회가 8일 발족식을 갖고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했다. 이번에 출범하는 분류체계운영위원회는 B2B시범사업 등 업종별로 구축하고 있는 분류체계 성과물을 관리하고, 국제적 분류체계인 유엔상품서비스분류(UNSPSC)를 기반으로 통합분류체계를 마련하게 된다. 이를 통해 전자카탈로그 제작시 동일한 부품·자재라도 업체마다 분류체계·부품코드를 다르게 표시하는데서 비롯된 전자카탈로그간의 호환성 부족, 중복 투자 등 그 동안 전자상거래 확산에 장애요인이 되어왔던 문제점들을 해소해 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분류체계운영위는 또 관련 국제표준화단체(UNDP, ECCMA)에 대한 국내 대응을 활성화하여 새로운 국제표준의 국내도입과 국내에서 생산된 분류코드의 국제기구 상정 활동을 전개하게 된다. 이번에 공식적으로 출범한 분류체계운영위원회는 산업자원부(기술표준원포함), 조달청 등 관련부처외에도 업종별B2B시범사업에 참여하는 30개업종의 표준화담당자와 전자카탈로그 관련 업계, 학계, 대한상공회의소 등의 전문가가 참여하며 10월중 국제표준화단체에 민관합동 조사협력단을 파견하고, 금년중 20개 업종의 통합분류맵 작성, 내년 상반기중 기계분과 통합분류체계 및 연계시스템 구축 등의 작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특히, 전자상거래표준화통합포럼(ECIF)과 밀접한 관계하에 활동함으로써 분류체계 분야의 사실상 표준 제정 및 확산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분류체계운영위원회 조직은 사무국과 업종별 분과위원회로 구성되며 업종별 분과위원회는 시범사업 30개업종을 관련업종별로 분류하여 구성하고, 업종별 분류체계에 대한 조정작업과 코드중복방지를 위한 활동을 수행하게 된다. - 기계 분과위원회 : 기계, 파스너, 공구, 금형, 자동화장비, 자동차, 조선, 시계, 안경/광학 - 설비 분과위원회 : 전력, 건설, 환경(설비), 유틸리티설비 - 유통 분과위원회 : 유통, 농축산물, 섬유, 완구 - 화학 분과위원회 : 정밀화학, 석유, 생물 - 금속 분과위원회 : 철강, 비철금속 - 전자 분과위원회 : 전자, 뉴세라믹 - 제지/목재 분과 : 제지, 골판지, 목재/가구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