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자동차산업의 한중 경쟁력 비교와 협력방안 | ||
|---|---|---|---|
| 저자 | 류기천 | 출처 | 전경련 |
| 발간일 | 2002-07-16 | 등록일 | 2003-07-01 |
| 파일크기/형태 | 136,608 Byte / .pdf | 가격 | 0 |
| 조회수 | 4720 | 다운로드수 | 75 |
| 파일 | 자동차산업의 한중 경쟁력 비교와 협력방안.pdf | ||
| 요약 | |||
| 이 자료는 전경련이 2002년 7월 16일 개최한 한ㆍ중 산업별 경쟁력분석 워크샵에서 한국자동차산업연구소 류기천 연구위원이 발표한 자료다. <한·중 자동차산업 협력 방안> 중국 자동차산업의 성장은 한국 자동차산업에게는 큰 기회인 동시에 위협요인이다. 중국시장의 확대는 한국 자동차산업의 글로벌화에 중요한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그러나 역으로 중국 자동차산업의 경쟁력 향상은 세계시장에서 한국 자동차산업에 대한 강력한 경쟁자의 출현을 의미한다. 중국 자동차산업의 경쟁력은 생산규모 확대와 해외 메이커들의 적극적인 투자 등으로 빠르게 향상될 것으로 예상된다. 완성차와 부품분야 모두 시장확대에 따른 생산확대, 산업구조조정에 따른 규모화의 진전, 시설 및 생산방식의 합리화, 숙련노동자의 증가 등으로 경쟁력이 높아질 것이다. 또한 해외 자본 투자의 확대와 기술이전 등도 확대되고 있는 점도 중국 자동차산업 경쟁력 향상 속도를 빠르게 할 것이다. 따라서 중국시장에 대한 공략과 함께 중국 자동차산업의 우위요소를 활용한 경쟁력 강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현재 한국 자동차산업이 갖고 있는 가격경쟁력은 향후 중국 자동차산업에 뒤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기 때문에 중국을 활용하여 가격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일부 차종의 경우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중국을 수출거점화 하는 방안도 필요할 것이다. 부품분야의 경우 인터넷 조달과 B2B 등을 통해 양국간 협력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자동차관련 서비스 중 개별국가나 업체 차원의 디지털 제품과 서비스의 표준화를 도모하여 양국간에 이용할 수 있도록 추진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