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지식정보

제목 일본형 생산프로세스 변용
저자 임채성 출처 현대경제연구원
발간일 2002-08-05 등록일 2003-07-01
파일크기/형태 122,721 Byte / .pdf 가격 0
조회수 4993 다운로드수 82
파일 일본형 생산프로세스 변용.pdf
요약
최근 산업공동화 경향은 과거와는 달리 제조업 경쟁력의 저하에서 비롯

○ 일본 제조업의 경쟁력 저하
- 1990년대 일본 경제성장률은 선진국들과 비교해 봐도 낮은 수준임
- 일본기업의 경쟁력 저하는 단순히 재무상의 문제만은 아님
- 일본기업의 매상액 및 경상이익의 움직임
- 새로운 돌파구로서 기업의 사업재편과 사업통합이 가속화

○ 일본형 생산프로세스(수직통합·수평전개모델)의 경쟁력 상실
- 이상과 같이, 단순히 수급 밸런스의 회복으로 해결되지 않는 환경 변화는, 생산 현장에 일어난 제조업 자체의 구조 변화이자, 동시에 일본 기업의 경영모델에 변용을 가져다주는 압력으로 작용

(1) 수직통합 모델·수평전개 모델
- 게이레쯔(系列)는 과거 일본제조업의 유효했던 전략중의 하나였음
- (수직 통합) 조립가공형 제조업에서는 제품의 제조·조립뿐만 아니라 부품·재료의 조달으로부터 판매망까지를 하나의 기업집단으로 통합
- (수평 전개) 일본기업은 그룹경영에서도 특정 제품라인에 특정화되기보다는 모든 제품을 생산하는 전략을 취해왔음
- Full Set 체제가 경쟁력을 갖는 이유
- IT로 인한 시장환경의 변화

(2) Open Module형 생산방식
- Open Module방식은 본래 복잡한 기능을 갖는 제품 및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독립성이 높은 단위(=모듈)로 분해하여, 이를 표준화한 interface를 통해 조합해 가는 집적형 조립가공 프로세스를 가능토록 함
- 90년대에 들어 다양한 분야에서 Open Module화가 진행되었지만, 가장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것은 전자제품 분야임
- Open Module화가 진행하게된 또다른 요인으로 de facto standard가 중요

(3) Smile Curve - 부가가치의 이전
- Smile Curve는 value chain에 있어서 조립 및 판매 부문보다 부품제조 부문 및 서비스 부문 쪽이 수익성이 높아져 가는 현상
- module화가 Smile Curve에 미치는 영향(4) 수직통합모델의 value chain 해체
- 모듈화의 진행으로 Smile Curve에서의 부가가치 발생이 변화
- EMS(Electronics Manufacturing Services)의 등장
- Fabless의 등장
- 수직통합모델의 value chain 해체의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