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무선시스템이란 | ||
|---|---|---|---|
| 저자 | 선택에어데이타 | 출처 | 물류신문 |
| 발간일 | 2000-06-26 | 등록일 | 2003-07-01 |
| 파일크기/형태 | 31,744 Byte / .doc | 가격 | 0 |
| 조회수 | 5355 | 다운로드수 | 68 |
| 파일 | 무선시스템이란.doc | ||
| 요약 | |||
선택에어데이타(현재는 뫄일선택㈜로 사명 변경)에서 무선(Radio Frequency) 시스템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을 설명한 자료. 『무선(RadioFrequency)시스템은크게 RF/DC(Date Communication)와 RF/ID(Identification)로 나뉜다. 무선포터블터미널로 바코드를 스캔하여 그 정보를 리얼타임으로 서버에 보내 실시간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무선 시스템을 RF/DC라고 하고 전자식 출입증과 같이 물체내에 칩(Chip)을 내장해 무선으로 인식하게끔 하는 무선시스템을 RF/ID라 한다. 무선에는 전파출력에 따라 크게 450 480MHz 대의 주파수를 정부로부터 사용허가를 받아 쓰는 내로우밴드(Narrow Band)방식과 정부로부터 형식검증을 받는 wireless LAN(2.4GHz)방식이 있다. 내로우밴드 방식은 장비 설치시 매번 주파수 허가를 받고 속도가 다소 느린 단점이 있지만 최대 2Km까지의 넓은 Coverage를 갖는 장점이 있다. 반면 wireless LAN은 실제 100m 내외의 작은 Coverage를 갖는 반면 속도가 빨라 한정적인 지역에서 많은 단말기를 사용할 때 유용하다.』 『한 50명 정도의 작업자가 있는 자동차 부품 창고가 있다. 커다란 부품 등을 운반하기 위한 지게차 등이 있고 기본적으로 모든 부품에 바코드가 부착되어 있다.그리고 출고를 위한 피킹작업을 위해 전표를 발행하여 작업지시를 한다. 사실 이 자동차 부품공장뿐만 아니라 많은 물류센터의 물류작업들이 전표에 의존하여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경우 다음과 같은 상황들이 연출될 것이다. 우선 전표를 발행하기 위한 키보드 입력작업등이 이루어 질 것이고 이로 인한 인력과 시간이 소요될 것이다. 설사 전표발행을 컴퓨터로 자동화 했다고 해도 프린터로 출력하는 작업만 해도 작업 전날 전산직원은 최소한 한 두시간 정도 소비할 것이다. 그리고 한번쓰고 버릴 전표발행을 위해 종이 및 프린터 리본과 같은 소모품 비용이 정기적으로 발생할 것이다. 작업 당일 아침 작업감독자는 작업시작전에 작업자들을 모아놓고 프린터된 전표등을 작업자들에게 일일이 할당해 준다. 이를 위해 실제 작업이 이루어지기 전에 최소 30분이상 소모된다. 전표에 의해 작업을 하는 도중에 감독자는 새로운 긴급 주문을 받게 된다. 감독자는 긴급히 전표발행을 지시하고 넓은 공장에 산재되어 일하고 있는 지게차 운전자 및 작업자들을 마이크를 사용해 집합시키고 새로운 피킹 전표를 나눠준다. 이를 위해 최소 대여섯 시간이 소요된다. 이것도 빨리 진행되었을 때의 경우이고 많은 경우 야간 작업을 하거나 다음날에 작업이 이루어진다. 이쯤되면 부품창고 소장은 지게차에 액정디스플레이를 달아 작업지시를 내리는 무선데이타시스템을 진지하게 생각하게 된다. 하지만 비용이 만만치 않다. 무선데이타 시스템이 어떤 것인지도 정확히 모르겠다. 기존 시스템을 바꾸자니 솔직히 귀찮고 실패할 경우 윗사람의 문책이 무섭다. 또 기존 시스템이 조금 늦기는 하지만 잘 운용되고 있지 않은가? 그런데 시대가 무섭게 변하고 있다. 속도의 시대니 무재고 시스템이니 ERP(전사적관리시스템), SCM이니 하는 용어들이 들리면서 이러한 것들을 물류에 도입해야 한다고 한다. 대략적인 것들은 이해가 가는데 실질적으로 우리 창고에 어떻게 적용해야 할 지 모르겠다. 위에 언급한 상황은 현재 거의 모든 부품공장 및 물류센터에서 겪고 있는 상황이다. 많은 경우에 단지 비용적인 이유로 무선데이타시스템의 도입을 주저하고 있는 것이다. 』 『무선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생기는 효과는 이에 그치지 않는다. 작업자의 현시점 작업상황이 분명히 파악되므로 작업량 및 작업일정을 정확히 통제할 수 있고 각 작업자의 생산성을 공정히 평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선시스템은 위의 부품공장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방안일 뿐만 아니라 전산시스템과 결합하여 물류의 생산성을 향상시키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된다. 더군다나 무선시스템은 물류에 관련하여 POP(Point of Production:생산시점정보관리)와 같은 실시간 정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반이 되는 것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