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모바일 비즈니스 현황과 전망 | ||
|---|---|---|---|
| 저자 | 유병규, 신광철, 임진국 | 출처 | 현대경제연구원 |
| 발간일 | 2002-05-02 | 등록일 | 2003-07-01 |
| 파일크기/형태 | 448,197 Byte / .pdf | 가격 | 0 |
| 조회수 | 4589 | 다운로드수 | 199 |
| 파일 | 모바일 비즈니스 현황과 전망.pdf | ||
| 요약 | |||
<개념> 모바일 비즈니스는 기존의 e-비즈니스와 무선 인터넷이 결합한 것으로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와 단말기를 통해 이루어지는 상거래 및 기업의 제반 부가가치 창출 활동을 의미한다. <유용성> 기업은 모바일 비즈니스를 경영 활동에 적용함으로써, 생산성 향상, 거래 비용 절감, 소비자 서비스 및 효율성 증대 등 다양한 이익을 향유한다. <세계 시장> 세계 모바일 비즈니스 시장은 2002년 10∼100억 달러 수준에서 2005년까지 최소 222억 달러에서 최대 2,000억 달러 규모로 20 배 내외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모바일 비즈니스 시장의 성장은 모바일 인터넷 이용자수가 2005년까지 11억 8,700만 명으로 증가할 것이라는 가능성에 근거하고 있다. 쥬피터 리서치는 2005년 세계 모바일 비즈니스 시장이 222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Ovum은 2,017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이라는 기대를 하고 있다. 현재 모바일 비즈니스 시장은 무선 환경이 우수한 유럽이 선도하고 있으며, 향후 아시아·태평양 지역이 시장의 선도적 위치를 차지할 것으로 ITU는 전망하고 있다. <국내 시장 현황과 전망> 국내 모바일 비즈니스 시장 규모는 2002년 1조 원대에서 향후 3∼4년 내에 4조원대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E-bizgroup은 모바일 상거래 서비스의 성장을 통해 2004년 3.5조원, 2010년 6조원 규모의 성장을 전망하고 있으며, 액센츄어와 IDC 공동 조사에서는 2004년에 30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자동차> 모바일 비즈니스는 자동차 산업의 가치사슬 구조 내 생산·판매에 적용됨은 물론 판매 후 서비스 과정에서도 다양한 사업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생산·판매 측면의 물류 효율화, 구매자에 대한 서비스, 판매 후 서비스 측면에서는 대출, 보험, 정비 등 자동차 관련 서비스와 도로 정보, 주유, 여행 등과 같은 운전 및 생활 지원 서비스가 가능하다. 자동차 모바일 비즈니스는 텔레매틱스를 통해 자동차를 '움직이는 사무 공간'으로 변화시키고 있으며, 텔레매틱스 시장은 2005년까지 8,500억 원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국내의 텔레매틱스 서비스는 현대·기아-LG텔레콤, 대우-KTF, 르노삼성-SK텔레콤 등 자동차 업체와 이동통신 업체간 제휴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이외에 중고차 매매 관련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는 매매 종합 서비스, 닛산과 NTT도코모의 인터넷 자동차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비즈니스 개발이 이루어진다. <건설: 일본 사례> 발주자와 거래처, 공사 현장 사무소를 네트워크화해 업무 효율화와 수익성 제고를 추구하고 있다. <향후 육성 과제> 모바일 비즈니스가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기술 인프라 확충, 다양한 서비스 개발을 통한 비즈니스 모델 개발, 새로운 상거래에 따르는 제도와 법규의 확립이 이루어져야 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