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지식정보

제목 러시아·동구권 섬유시장개척단 파견 결과보고
저자 출처 섬유직물수출입조합
발간일 2002-07-29 등록일 2003-07-01
파일크기/형태 51,820 Byte / .hwp 가격 0
조회수 4665 다운로드수 59
파일 러시아·동구권 섬유시장개척단 파견 결과보고.hwp
요약
러시아·동구권 섬유시장개척단 파견 결과보고

가. 파견국가 : 러시아(모스크바)/벨로루시(민스크)/우크라이나(키예프)/루마니아(부카레스트)
나. 파견기간 : 2002. 5. 15 ~ 5. 30(16일간)

<파견국 4개지역 전반적인 동향>
○시장개척단이 파견된 4개지역의 섬유산업은 주로 봉제산업이 주축을 이루고 있음.
○대부분의 봉제업체들은 주로 유럽국가들의 하청생산 방식으로 재 수출을 하고 있으나 점차 원자재를 직접 구매하여 자체생산에 의한 직수출을 시도하는 과정에 있음. 이들 바이어들은 한국산 원단을 현지에서 stock 구매 희망
○이들 국가에서 한국산 직물은 높은 평가 및 좋은 반응을 갖고 있어 향후 한국산 직물의 수요가 증가 될것으로 예상됨.
○대금결제방식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지하경제 비중이 크며 과다한 세금부과 문제로 L/C 거래가 활발하지 못한 반면 T/T 방식이 주된 거래 방식임.
○대금결제방식은 우리 수출 업체들과 바이어들간에 상호 신뢰를 쌓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현행 선박운송 루트의 문제점은 딜리버리가 1개월 이상 걸리고 있다는 점인데 북한을 통과하여 유럽까지 연결되는 철도 수송의 길이 열린다면 한·러 뿐만 아니라 한·동구권, 한·유럽권의 교역량이 급증할 것으로 판단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