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러시아 TSR 거점 지역별 유망 분야 및 진출방안 | ||
|---|---|---|---|
| 저자 | 출처 | KOTRA | |
| 발간일 | 0000-00-00 | 등록일 | 2003-07-01 |
| 파일크기/형태 | 142,363 Byte / .hwp | 가격 | 0 |
| 조회수 | 5003 | 다운로드수 | 50 |
| 파일 | 러시아 TSR 거점 지역별 유망 분야 및 진출방안.hwp | ||
| 요약 | |||
1억5천만 인구와 한반도의 77배(17,075천㎢)의 방대한 영토의 러시아는 유럽과 아시아에 걸쳐 각기 다른 지역 상권을 형성하고 있으며, 발전 격차가 심하다. 이 중 러시아의 TSR(Trans-Siberian Railway : 시베리아 횡단 철도)을 축으로 발달된 거점 지역(도시)들은 러시아 물류 이동의 중심지이며, 지역 상권의 중심지로서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한 도시들로 이들 지방 시장 공략은 러시아 시장 진출의 성공을 가늠하는 열쇠가 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KOTRA(www.kotra.or.kr)는 「러시아 TSR 거점 지역별 유망 분야 및 진출 방안」이라는 보고서에서 러시아 경제 및 지리적 특성을 살려, 지방 도시별로 차별화된 진출 전략으로 경제 교류 활성화를 모색할 때라고 밝히고, 지방 거점 지역별 수출 유망 분야로는 1회용 의료용품, 자동차부품, 생활용품, 통신 장비, 중고 기계류, 중고 자동차 및 부품, 석유화학제품, 직물류 등이며, 투자 진출 유망 분야는 지하 자원 개발 프로젝트, SOC 개발 프로젝트, 호텔 현대화 등을 추천하였다. 한편, 러시아 지방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서는 TSR의 적극 활용이 불가피한데, 현재 TSR의 화차의 부족 및 예측 불가능한 운행 제도, 설비의 노후화 및 컨테이너 수량 부족 등 서비스의 불안정성 때문에 화주들이 TSR 이용을 기피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우리나라에서 TSR(블라디보스톡)까지 연결하는 코스로 현재까지는 부산-블라디보스톡의 해운 항로 뿐인데, 운임이 다른 아시아 지역의 동일한 거리보다 3배 정도 비싼 점도 애로사항이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볼 때 한국과 가장 가까이 인접한 러시아 극동 지역의 연해주의 블라디보스톡을 기점으로 TSR이 통과하는 거점 도시들을 공략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더 나아가 유라시아를 잇는 TSR이 제 기능을 할 경우, 한국의 부산항은 아시아와 유럽을 잇는 첫 교두보가 될 수 있으며, 각 TSR의 거점 도시들은 물류 거점 지역으로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므로, TSR을 적극 활용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할 때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