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동아시아의 공동지리정보처리센터 설치 방안연구 | ||
|---|---|---|---|
| 저자 | 출처 | 건설교통부 | |
| 발간일 | 0000-00-00 | 등록일 | 2003-07-01 |
| 파일크기/형태 | 3,891,150 Byte / .pdf | 가격 | 0 |
| 조회수 | 5152 | 다운로드수 | 378 |
| 파일 | 동아시아의 공동지리정보처리센터 설치 방안연구.pdf | ||
| 요약 | |||
| 이 보고서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주관연구기관)과 (사)한국지리정보기술협회, (사)한국GIS전문가협회, ㈜한국공간정보통신(이상 위탁연구기관)이 2000년 NGIS 지원연구사업의 일환으로 수행, 건교부에 제출한 '동아시아 공동지리정보 처리센터 설치방안 연구' 최종보고서다. 세계주의와 더불어 나타난 지역주의의 강화는 각 지역에 지역 공동체를 설립하도록 하였다. 그렇게 등장한 것이 EU, APEC, NAFTA 등이며, 특히 아시아에서는 APEC, ASEAN 등이 설립되어 활동하고 있다. 또한 21세기를 이끌어가기 위해 대외협력기구들은 APEC의 APII, ASEAN의 과학기술분과에서 정보통신과 관련한 업무를 통해 역내국의 정보통신분야를 이끌어가고자 한다. 그 외에도 관련 종사자들의 필요에 의해서 설립된 각종 민간기구들은 미국 및 유럽 등과 같이 지리정보사업의 선진국에는 여러 단체가 기 설립되어 있다. 이에 반해 동아시아의 경우 특별한 지리정보 민간단체가 없어 이를 뒷받침해 줄 수 있는 기구의 설립이 요구된다. 한편 동아시아 각 국은 국가 지리정보 사업을 착수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이들은 APII, ASEAN, PCGIAP 등 역내 관련 기구에 가입하여 국가적 사업에 대한 정보를 얻고 있으며 이 지역으로의 우리나라 진출 또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동아시아의 국가지리정보사업이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것과 동시에 우리나라의 동아시아로의 진출 역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진출을 꾀하고 있는 대부분의 기업들은 사전 정보 입수 및 자금 문제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들을 지원하고 우리나라 지리정보 기술의 해외로의 진출을 촉진할 수 있는 지리정보 운영센터를 설립하고자 한다. 지리정보 운영센터는 우선 사이버상에 존재하면서 국내 기업에 정보 제공을 우선으로 하며 차후 동아시아 관련 국가와의 무역을 연계해주는 교두보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우선은 그러한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서 연구, 홍보, 교육 등의 장기적 관점에서의 사업을 진행해 나갈 필요가 있다. 동아시아 지리정보 운영센터는 동아시아의 지리정보 사업추진 동향 및 각국의 정보를 제공하여 동아시아로 진출을 하려는 업체들에게 사전 정보를 제공한다. 더 나아가 기업들의 해외사업추진을 돕고 해외 진출의 발판으로서 작용할 수 있도록 그 운영 및 앞으로의 방향을 설정해 나가야 할 것이다. 이러한 기본적인 사항을 중심으로 설립된 지리정보 운영센터는 우리나라 지리정보 사업의 국제적인 무대를 마련할 뿐만 아니라 관련되어 있는 동아시아 각국에서도 우리나라 및 해외로 진출하는데 있어서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목 차> 제1장 서론 / 1 제2장 동아시아 지리정보기구의 현황조사 및 분석 / 3 1. 동아시아 국제회의 및 대외협력기구 현황과 역할 / 3 2. 동아시아의 지리정보 기구현황 및 활용현황 분석 / 41 제3장 동아시아 각국의 지리정보추진 현황 및 대외협력관계의 방향설정 / 53 1. 동아시아 각국의 지리정보 사업 추진 현황 / 53 2. 국내 업계의 동아시아 진출사례 분석 / 143 3. 동아시아의 대외협력관계의 한계와 방향 / 154 제4장 지리정보 운영센터 설치방안 / 217 1. 지리정보 운영센터의 설치 요건 / 218 2. 지리정보 운영센터의 기능 및 운영방안 / 228 3. 지리정보 운영센터의 조직구성 방안 / 233 4. 지리정보 운영센터 설치를 위한 제도 개선 방향 / 238 제5장 국내 지리정보업체의 국제 홍보화전략 / 241 제6장 결론 / 24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