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동북아 비즈니스 중심국가 실현방안 | ||
|---|---|---|---|
| 저자 | 출처 | 재정경제부 | |
| 발간일 | 2002-04-04 | 등록일 | 2003-07-01 |
| 파일크기/형태 | 6,529,720 Byte / .hwp | 가격 | 0 |
| 조회수 | 4878 | 다운로드수 | 56 |
| 파일 | 동북아 비즈니스 중심국가 실현방안.hwp | ||
| 요약 | |||
| 목차 : 1. 추진배경 2. 실현가능성 평가 3. 동북아 물류 중심지화 추진 4. 동북아 비즈니스 거점화 추진 < H/W 확충전략 > (1) 인천공항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서부축 개발 (2) 우선순위를 고려한 단계적 개발 추진 (3) 개발에 필요한 재원의 조달 (4) 경제특별구역의 지정 (5) 동북아 IT·디지털미디어산업 중심지화 (6) 지역균형발전정책과의 연계 < S/W 발전전략 > (1) 외국기업의 경영환경 개선 (2) 외국인의 생활환경 개선 5. 향후 일정 <요약> 정부는 2002년 4월4일 청와대에서 대통령 주재로 국민경제 자문회의 겸 경제정책조정회의를 열고, 동북아 비즈니스 중심 국가 실현을 위한 기본청사진(Master Plan)을 논의·확정하고 이를 발표했다. 기본청사진에서는 한국을 동북아 비즈니스 중심국가로 육성해 나가기 위하여 동북아의 물류중심지화 및 기업·금융의 거점화를 제시하고, 이에 필요한 물적·공간적 전략(H/W전략)과 제도·환경적 전략(S/W전략)의 추진방안을 마련했다. 핵심전략은 *하드웨어 확충전략과 *소프트웨어 발전전략으로 집약된다. ◇ 인천 국제공항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 서부축의 지역별 기능분담체계를 마련 ◇ 개발우선순위를 고려하여 단계적 개발을 추진하고, 녹지공간을 최대한 확보하여 환경친화적인 개발 유도 ◇ 필요재원은 민자유치와 개발이익을 최대한 활용하되, 전략적 개발차원에서 재정지원방안을 강구 ◇「경제특별구역」의 지정과 이를 지원하기 위한 특별법 제정 및 특별행정기구의 설치 ◇ IT 인프라 구축을 통해 동북아 IT 및 미디어 산업의 중심지로 개발 ◇ 광양, 부산 등 지방 핵심거점의 개발 및 수도권과 지방과의 연계를 통해 지역균형발전정책과의 조화를 도모 ◇ 물류·IT 인프라 및 물리적 공간 확보는 비즈니스 중심지의 필요조건은 되나 충분조건은 아님 ◇ 외국기업 친화적인 경영환경과 외국인 생활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국내 제도를 획기적으로 개선 ◇ 특히, 『경제특별구역』에 대해서는 특별법을 통해 국내 관련제도를 선진국 수준으로 개편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