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농산물 도매시장 전자경매 현황 | ||
|---|---|---|---|
| 저자 | 출처 | 농림부 | |
| 발간일 | 0000-00-00 | 등록일 | 2003-07-01 |
| 파일크기/형태 | 238,037 Byte / .hwp | 가격 | 0 |
| 조회수 | 5310 | 다운로드수 | 69 |
| 파일 | 농산물 도매시장 전자경매 현황.hwp | ||
| 요약 | |||
2001년 상반기 농산물 도매시장 전체 거래량(252만5천톤)중 전자경매로 거래 되는 물량은 27% 수준(68만1천톤)에 이르렀다. 시장별로 볼때 전자경매율이 가장 높은 곳은 대전오정도매시장이 75%, 가락시장은 29% 수준이며, 가장 낮은 도매시장은 전주도매시장으로 7%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경매는 그동안 잘 알아 들을 수 없었던 경매사의 호창소리는 경 매결과를 눈으로 볼 수 있는 전광판으로, 중도매인의 손짓(수지경 매)은 무선응찰기(핸드폰과 유사) 또는 PDA(개인정보단말기)로 대 체하여 무선기술과 접목됨으로써 보다 투명한 경매가 가능하게 되어 출하자 소비자 모두로 부터 신뢰를 받게 되었다. 농림부는 전자경매의 확대를 위해 2000년도에 42개 법인에 대한 자금 지원(60억원)에 이어 2001년도에도 20개 법인에 30억원을 지원 해 나가고 있다. 농림부는 연차적으로 더욱 확대해 2003년까지 전 체 도매시장 법인이 전자경매를 도입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견 본·통명거래 정착, 출하자(농민) 불만 해소, 시장기능의 활성화, 전자상 거래 및 출하EDI체계 기반구축 등을 앞당길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와함께 전자경매의 원만한 정착을 위해 개설자별로 전자경매 체제 에 맞는 운영시스템을 구축하도록 하고 있다. 인터넷을 활용한 경락 정보 신속전파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현재 구축중인「도매시장통합홈 페이지」를 통해 실시간(Real time)으로 제공 할 계획이다. 정부는 앞으로도 분기별로 전자경매 추진실적을 평가하여 우수자는 정책자 금지원시 인센티브를 적극 부여해 나가는 한편, 각 시도담당자와 도매시장관계자가 참여하는 「도매시장 전자경매 점검회의」를 개 최하여 애로사항을 발굴·해소 해 나가는 등 전자경매의 조기정 착을 위해 총력을 기울여 나갈 계획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