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지식정보

제목 기업이 모바일 엔터프라이즈 컴퓨팅에 주묵하는 이유
저자 출처 소프트뱅크리서치
발간일 2002-03-14 등록일 2003-07-01
파일크기/형태 1,148,930 Byte / .pdf 가격 0
조회수 4817 다운로드수 152
파일 기업이 모바일 엔터프라이즈 컴퓨팅에 주묵하는 이유.pdf
요약
최근 기업의 환경이 빠른 의사결정을 요구하는 구조로 변화되는 과정에서 현장과
본사를 잇는 의사결정 구조의 확립, 이를 통한 빠른 대응이 기업의 생존을 위한 선
결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의 대안 중 하나로 떠오르는 것이 바로 현
장 담당자가 기업의 IT 자원에 실시간 접근, 각종 정보를 공유하고 협업을 이뤄낼
수 있는 모바일 엔터프라이즈 컴퓨팅 환경의 도입이다.
이미 IDC 등 시장조사기관에서는 2001년 전세계 모바일 솔루션과 SI 시장이 대
략 55억 달러에 달한 것으로 밝히고 있으며 매년 50%씩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 지표에는 무선 인프라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접근 미들웨어 등이 포함되어
있다. 양키그룹의 경우 모바일 현장지원 시스템에만 2004년 5억 달러 규모의 시장
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국내의 경우도 역시 ETRI, 정보통신부 등에서
연간 70%의 성장을 보이며 2003년 8,400억 원대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한
바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대에도 불구하고 모바일 엔터프라이즈 시장은 빠른 속도로 진행
되지 못하고 있는데, 여기에는 경기 침체로 인한 기업의 IT 투자 위축, 네트워크 안
정성 및 속도 등 인프라 문제, 기업 문화와 충돌하는 점 등을 들 수 있으나 가장 큰
요인은 모바일 엔터프라이즈 환경 전환에 대한 접근 방법론의 부재에 있다.
기업의 전산 시스템을 모바일 환경으로 전환하는 부분은 기존의 기간 시스템과의
연계성, 모바일 활용 범위의 규정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서 진행해야 하며, 네트
워크 인프라와의 연계성 및 향후 확장성 등을 고려해 진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보고서에서는 기간 시스템의 유형 및 향후 모바일 활용 범위에 따른 모바일 구축
의 방법론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기술적인 접근 이외에 모바일 구축 전략을 수립하
기 위한 인력 구성 및 구성원의 임무 범위 설정 등 구축을 위한 절차까지 예시를 들
어 설명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일반 기업에서 갖기 쉬운 모바일에 대한 편견과 오류
에 대한 설명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