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기계산업의 IT화 전망과 추진전략 | ||
|---|---|---|---|
| 저자 | 박 광 순 | 출처 | KIET |
| 발간일 | 2001-10-01 | 등록일 | 2003-07-01 |
| 파일크기/형태 | 42,164 Byte / .hwp | 가격 | 0 |
| 조회수 | 4620 | 다운로드수 | 39 |
| 파일 | 기계산업의 IT화 전망과 추진전략.hwp | ||
| 요약 | |||
| 기계류는 대부분이 중소기업형 제품으로 이 분야의 기술개발추진과 IT화는 곧 기술집약적 중소기업의 육성과 직결되기 때문에 IT화의 중요성이 매우 크다고 하겠다. 세계 기계산업의 기술도 타 기술과의 융합화가 계속 확대되는 추세이기 때문에 이를 유기적으로 연계하기 위해서도 기계산업의 네트워크화 및 IT화의 확산과 적용이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다. 또한 기계류 수요의 다양화와 기술혁신, 국제화, Global화 등의 기업환경변화에 따라 종전의 개별적인 자동화, 정보화를 중심으로 하는 생산시스템의 경영으로는 경제적인 측면에서 경쟁력 우위확보가 어려운 실정이며 기계류의 유통측면에 있어서도 전자상거래(EC) 및 사이버마켓(Cyber Market)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기계산업을 중심으로 한 기계산업의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2001년에 5,000억원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되며, 기계산업부문의 전자상거래율(2001년 3%)도 향후 크게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기계산업의 특성상 향후 전자상거래도 B2C보다는 B2B가 중심이 될 것으로 보이며, 향후 예상되는 전자상거래율과 기계산업부문의 중간수요율 및 총산출액 등을 기준으로 할 때 전자상거래 시장규모가 2006년에 3조원에 육박한데 이어 2011년에는 6조 5,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IT화의 촉진을 위해서는 IT관련 법, 제도 및 종합적인 정책지원 체제구축, 기계류 기업간 B2B 관련 산업표준 정비, 기계류 IT화 추진의 명확한 사업비전과 목표의식 설정 등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와 아울러 IT화를 위한 구체적인 전략이 부족한 상태에서 기업들이 경쟁적으로 B2B, B2C 시장에 진출하려는 경향이 강한 것도 Cost-Benefit을 고려하여 체계적으로 접근하여야 할 것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