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국내외 ERP.SCM시장 현황 및 전망 | ||
|---|---|---|---|
| 저자 | 민승기 | 출처 | 전자통신연구원 |
| 발간일 | 2002-09-04 | 등록일 | 2003-07-01 |
| 파일크기/형태 | 142,336 Byte / .doc | 가격 | 0 |
| 조회수 | 4712 | 다운로드수 | 56 |
| 파일 | 국내외 ERP.SCM시장 현황 및 전망.doc | ||
| 요약 | |||
1990년대 후반 정보기술의 발전과 경영환경 변화에 따라 기업들은 정보시스템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시작하였으며, 이에 따라 기업 정보시스템의 기반을 제공하는 ERP와 기업의 로지스틱스 부문의 최적화를 지원하는 SCM은 기술 및 시장 측면에서 빠른 속도로 성장하였다. 1990년대 중반부터 Siemens, Microsoft 등의 선도기업을 시작으로 활용되기 시작한 ERP는 대부분의 대기업이 구축 완료하였으며, 기업 정보시스템의 중심역할을 하고 있다. SCM은 1990년대 후반 ERP시스템을 구축한 제조산업의 기업들을 시작으로 시장을 형성하기 시작하였으며, 현재 유통산업 등으로 시장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현재 ERP시장은 중소기업 시장과 시스템 업그레이드 시장을 중심으로 활성화되어 있으며, 기능 측면에서는 무선 애플리케이션과 시스템 통합에 초점을 맞추어 새로운 기능이 추가되고 있다. 특히 기업들이 CRM, SCM등 전략 정보시스템을 구축함에 따라 기타 시스템과의 통합 관련 요구사항이 증가하고 있다. 최신 ERP시스템의 특성을 살펴보면 산업측면에서 기업의 전략을 지원하기 위하여 산업별 특성을 반영하며, 시스템 측면에서 기술 인프라스트럭처가 유연하고, 기타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시장 안정화 단계에 있는 SCM은 기술 측면에서 공급망 계획 및 네트워크 관련 기능이 개선되고 있으며, 시장 측면에서는 정보시스템의 도입에 따른 ROI가 나타남에 따라 시장이 빠른 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향후에도 기업들의 세계화 및 시장영역 확대에 따라 로지스틱스 부문의 최적화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국내 ERP 및 SCM시장은 SAP, Oracle, i2 Technologies 등의 애플리케이션 벤더, Accenture, Deloitte 등 컨설팅 벤더, 삼성SDS, LG CNS 등 시스템 통합 벤더가 주도하고 있는 가운데 전반적으로 세계시장과 유사한 움직임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국내 기업들이 조직 및 프로세스를 빠르게 변화함에 따라 정보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향후 국내 벤더들이 ERP 및 SCM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손익중심의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서비스 프레임워크를 구성하고, 중소기업 시장을 중심으로 시장 경쟁에 참여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국내 시스템 통합 벤더들이 중국 및 동남아 시장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추세에 맞추어, 국내 기업 뿐만 아니라 해외 기업의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지원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구성하여 세계시장을 공략해야 할 것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