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국내산업의 설비투자 | ||
|---|---|---|---|
| 저자 | 출처 | 산업은행 | |
| 발간일 | 0000-00-00 | 등록일 | 2003-07-01 |
| 파일크기/형태 | 0 Byte / .hwp | 가격 | 0 |
| 조회수 | 4719 | 다운로드수 | 92 |
| 파일 | 국내산업의 설비투자.hwp | ||
| 요약 | |||
| 목차 : Ⅰ. 머리말 1 Ⅱ. 설비투자와 국민경제 2 1. 설비투자의 국민경제적 의의 2 2. 설비투자 변동과 경기순환 3 Ⅲ. 90년대 설비투자 특징 7 1. 설비투자 행태의 변화 7 2. 설비투자가 국민경제에 미친 영향 19 Ⅳ. 산업별 설비투자 동향 25 1. 반도체산업 25 2. 정보통신 31 3. 철강산업 38 4. 자동차산업 44 5. 석유화학산업 53 6. 섬유업 60 7. 조선산업 65 8. 일반기계산업 72 9. 음식료산업 77 10. 운수업 82 Ⅴ. 설비투자 지원제도의 변천 91 1. 금융지원제도 91 2. 조세지원제도 98 3. 기술개발지원제도 101 4. 중소기업지원제도 104 Ⅵ. 향후 설비투자 전망 108 1. 설비투자 결정이론 108 2. 모형설정과 설비투자 전망 113 3. 고정투자율과 설비투자 전망 115 4. 산업별 설비투자와 산업구조의 변화 118 Ⅶ. 설비투자 과제 135 요약 : 유무형의 재화를 생산하는 기업의 설비투자란 협의로는 경영주체가 장·단기 경영계획하에 재생산을 목적으로 기계장치, 운반차량 및 건물 등의 설비를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나, 이를 국민경제적 차원에서 보면 장기적으로 자본스톡을 형성함으로써 성장잠재력을 확보하는 수단이며, 개방경제에서는 대외경쟁력을 확보함으로써 국가경제의 세계적 위상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우리 기업의 설비투자도 60년대 경제개발 초기단계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 경제 성장의 부침과 함께 산업구조의 변화와 성장잠재력을 주도하여 왔다. 90년대 후반에는 외환위기를 겪으면서 기업의 설비투자가 위축되어 경제성장률 하락, 성장잠재력 감소 등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정부의 다각적인 노력과 세계적인 정보화수요 급증에 힘입어 IT산업을 중심으로 일시적인 투자회복이 이루어졌으나, 최근 세계경제 둔화와 함께 국내기업의 설비투자도 다시 위축되고 있어 설비투자 확대를 위한 여러 가지 방안이 마련중이다. 그러나 향후 우리기업의 설비투자는 과거와 같은 양적 확대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따라서 설비투자 확대를 통한 경제 성장 도모도 어느 정도 한계에 달한 만큼 오히려 선진국형 산업구조로의 전환과 함께 투자재원의 효율적 배분에 더욱 힘써야 한다. 외환위기 이후 비록 설비투자 규모는 감소하였지만 과거의 중후장대형 위주 투자를 지양하고 지식기반 경제에서 세계경쟁력 제고와 관련된 투자의 확대 및 이를 위한 새로운 투자전략 수립의 필요성 확산 등 우리 기업의 설비투자 패턴이 질적으로 개선되는 성과가 있었다. 또한 최근 신기술을 바탕으로 한 신성장 산업이 부각되면서 전통 제조업 위주의 국내산업구조에 큰 변화가 나타남에 따라 기업의 설비투자 패턴도 이에 부응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본 책자는 이러한 환경하에서 우리 기업의 90년대 설비투자 패턴을 종합, 분석하고 향후의 새로운 투자 패턴을 제지함으로써 21세기 우리 경제, 산업에서의 설비투자 중요성을 다시 강조하는데 중점을 두고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제Ⅱ,Ⅲ장에서는 국민경제에 있어서의 설비투자의 중요성과 90년대 국내기업 설비투자의 주요 패턴 변화, 제Ⅳ장에서는 주요 산업의 90년대 설비동향, 제Ⅴ장에서는 설비투자 촉진을 위한 각종 제도의 변천과정, 제Ⅵ, Ⅶ장에서는 설비투자의 최근 동향과 선진국 및 경쟁국의 자료를 토대로 모형에 의한 우리 기업의 설비투자 규모 및 산업구조 변화를 전망하고 바람직한 설비투자 촉진을 위한 투자전략의 주요 논점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