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지식정보

제목 국내 SI기업 사업환경 분석 및 활성화 방안
저자 출처 한국SI연구조합
발간일 0000-00-00 등록일 2003-07-01
파일크기/형태 40,535 Byte / .hwp 가격 0
조회수 4704 다운로드수 145
파일 국내 SI기업 사업환경 분석 및 활성화 방안.hwp
요약
목차 :
1. SI업계의 체감경기…………………………………………………………… 3
2. 향후 SI산업 전망 …………………………………………………………… 3
3. 향후 예상하는 SI사업 형태 …………………………………………………4
4. 성장이 예상되는 SI사업 분야 …………………………………………… 4
5. 성장이 둔화되거나 퇴조가 예상되는 SI사업 분야 …………………… 5
6. 타사와의 전략적 제휴 형태………………………………………………… 5
7. SI사업의 핵심기술 ………………………………………………………… 6
8. 핵심기술 확보 방법 ………………………………………………………… 6
9. 영업정보 수집채널 ………………………………………………………… 7
10. 공공 및 지자체 프로젝트 수주시 애로사항 ………………………………7
11. 해외진출 현황 및 애로사항 …………………………………………………8
12. SI업계 부족인력 부문 ……………………………………………………… 9
13. 인력양성 형태 및 교육 주력분야 …………………………………………10
14. 핵심인력 유출대책 ………………………………………………………… 11
15. SI사업 부문별 인력 비중 ………………………………………………… 11
16. 컨설팅 전담조직 유무 ………………………………………………………12
17. SI산업 활성화 방안 ……………………………………………………… 12

<요약>

한국SI연구조합의 조사결과 SI업계는 체감경기는 대부분 어렵다고 응답했다. 그중에서도 아주 어렵다고 보는 기업이 56%로 가장 많은 응답을 하였고, 두번째는 어렵다가 40%를 차지, 전체의 96%가 체감경기가 싸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양호하다고 응답한 기업은 1개 기업도 없고, 보통이다고 응답한 기업도 4%에 불과했다.
SI산업이 이렇게 시장 분위기가 냉각된 주요원인으로는 경기침체에 따른 산업계의 IT투자 위축이 60.7%를 차지하여 첫번째 이유로 꼽았다.
두 번째는 정부·공공프로젝트의 발주지연이 21.4%를 차지하였다. 이 밖에 금융권의 구조조정 지연 등으로 SI시장 규모가 예상외로 활성화 되지 못했다는 응답도 전체의 7.1%를 차지했다.
향후 SI산업의 전망이 좋다고 보는 기업이 36%를 차지하고 있으며 매우 전망이 좋다라고 생각하는 기업도 4%나 되었다.
그러나 보통이다라고 보는 기업이 전체의 44%에 달해 내년의 사업전망을 밝게 보지는 않았다. 특히 16%는 올해보다 악화될 것으로 전망해 전체의 60%가 보통이거나 더 좋아질 것이 없다고 전망하였다.
예상과는 달리 많은 SI기업은 전문SI기업보다는 종합SI기업을 향후 목표로 생각하고 있다. 종합 SI기업을 원하는 기업이 전체의 반이 넘는 52%에 달해 전문 SI기업을 지향하는 36%보다 높은 결과를 보여 주었다.
SI기업에서는 앞으로 무선인터넷 분야에서 수요가 클것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 기업중 향후 성장이 두드러질 분야로 금융과 무선 인터넷을 위시한 모바일 SI시장을 꼽았다. 그 밖에 시큐리티와 보안분야의 SI시장이 차세대 SI시장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