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국내 유통구조의 문제점과 효율성 제고방안 | ||
|---|---|---|---|
| 저자 | 출처 | 산업연구원 | |
| 발간일 | 2001-05-01 | 등록일 | 2003-07-01 |
| 파일크기/형태 | 43,620 Byte / .hwp | 가격 | 0 |
| 조회수 | 4982 | 다운로드수 | 887 |
| 파일 | 국내 유통구조의 문제점과 효율성 제고방안.hwp | ||
| 요약 | |||
| 최근 우리 유통산업은 1990년대 후반 이후 외국 유통업체들의 국내 유통산업 진출이 본격화되면서 다양한 유통관련 新業態의 등장과 함께 이들 업종의 국내 진출이 늘어나고 있으며, 국내 대형 유통업체들의 지방 出店 활성화, 소비자 구매 패턴의 변화 등으로 현재 큰 변화를 맞고 있다. 이에 따라 대규모 자본과 조직을 갖춘 이마트나 롯데마그넷 등 대형 유통업체의 지방으로의 확장이 눈에 띄게 나타나고 있으며, 또한 유통업체간·유통업태간 경쟁도 더욱 심화되면서 유통산업의 대내외 환경도 급속하게 바뀌어가고 있다. 그렇지만 현재 우리 유통산업은 이같은 대내외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에는 구조적 문제점을 안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우선 유통업체가 선진국에 비해 자본력이 부족한 영세한 규모인데다가, 재래시장의 침체 등 유통업계 전반의 위축, 유통산업 관련 물류기반시설의 미흡, 최근 홈쇼핑시장의 팽창 등과 같이 e-business化가 가속화되는데 반해 이를 수용하기 위한 제도적 시스템이 미흡해 아직 전자상거래가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으며, 또한 유통산업에서의 B2C시장 규모도 협소한 점 등 여러 측면에서 선진국에 비해 국내 유통부문이 많이 뒤떨어져 있는 형편이다. 그밖에 우리나라 유통구조 혁신을 저해하는 또다른 요인으로, 국내 유통업계가 시대에 뒤떨어지고 낙후된 관행과 요소를 아직도 많이 갖고 있다는 점이다. 이같은 요인으로 현재 우리 유통업계가 21세기 최첨단제품을 효율적으로 유통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지 못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이같은 유통구조를 효율적인 시스템으로 바꾸려면, 제조업체와 소비자 사이를 연결시켜주는 도매업체와 중·소매업체간의 유기적 관계와 원활한 역할 분담, 유통관련 물류시설 확충 등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유통업태는 소매업체는 많으나 도매업체의 발달이 원활하지 못해 유통구조가 상당히 취약한 형편이다. 유통부문에서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우선 재래시장의 구조개선을 통한 활성화, 유통부문 효율화를 위한 물류기반의 확충, 지나친 유통업체간 경쟁 지양, 전자상거래 활성화 및 제도적 미비점 보완 등이 있어야 할 것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