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지식정보

제목 국내 아웃소싱 공급현황과 개선과제
저자 출처 아웃소싱기업협회
발간일 0000-00-00 등록일 2003-07-01
파일크기/형태 567,296 Byte / .ppt 가격 0
조회수 4726 다운로드수 83
파일 국내 아웃소싱 공급현황과 개선과제.ppt
요약
본 조사는 산업자원부가 총괄하고 사단법인 한국아웃소싱기업협회 주관으로 ㈜아웃소싱21닷컴(www.outsourcing21.com)이 시행했다. 이번 조사는 국내 81개 업체를 대상으로 2001년 8월5일 - 9월5일까지와 10월15일 - 11월 10일까지 두차례에 걸쳐 아웃소싱 공급현황과 아웃소싱산업을 바라보는 시각을 확인하고 이를 통한 문제제기와 개선책 모색을 도모하기 위해 실시됐다.

<조사결과 요약>
□ 아웃소싱산업을 이끌고 있는 아웃소싱 전문업체들은 국내 아웃소싱산업발전 전망을 묻는 질문에 71.6%가 발전가능성이 무궁무진한 산업이라고 답함. 반면 현상태에 머문다거나 지금보다 발전이 더디게 진행될 것이라는 항목에는 응답업체가 한곳도 없어 아웃소싱산업 전망을 낙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그러나 아웃소싱업체들은 활용기업들의 아웃소싱에 대한 인식과 호응도를 묻는 질문에 점차 개선되고 있다(50.6%)고 응답한 업체가 절반을 넘었고 이어 필요하다고는 생각하나 활용인식은 부족하다(43.2%)는 응답이 뒤를 이음. ‘선진국 수준’이라는 항목에 답한 기업은 단 한곳도 없어 인식변화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됨.
□ 아웃소싱 공급업체들이 아웃소싱서비스 사업을 시작한 시기는 1999년-2000년(27.1%)이 가장 많았고 다음이1997년-1998년(25.9%)으로 총 53%로 절반을 넘어서, 아웃소싱산업이 IMF를 거치면서 본격적인 태동기를 맞고 있음을 알수 있음.
□ 아웃소싱 계약기간은 보통 1년이상-2년미만(68.5%)이 상당수를 차지했으며 다음이 1년미만(14.2%)으로 장기적인 계약보다는 성과평가와 집중도를 높일수 있는 단기위주의 계약이 주류를 이루고 있음.
□ 매출 신장률 면에서도 지난해와 올해 예상 매출신장률이 50%이상 이라고 답한 업체가 각각 33.7%와 29.1%로 가장 높게 나타나 아웃소싱시장 성장속도를 가늠케 함.
□ 아웃소싱수주를 위해 가장 강조하는 요인은 제공하는 서비스의 품질과 내용(30.4%), 업무의 노하우(26.5%)를 꼽는 업체가 많았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