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국내 소프트웨어 유통 활성화 방안 연구 | ||
|---|---|---|---|
| 저자 | 이석준 외 | 출처 | sw진흥원 |
| 발간일 | 0000-00-00 | 등록일 | 2003-07-01 |
| 파일크기/형태 | 4,061,380 Byte / .hwp | 가격 | 0 |
| 조회수 | 5001 | 다운로드수 | 378 |
| 파일 | 국내 소프트웨어 유통 활성화 방안 연구.hwp | ||
| 요약 | |||
| 다음은 건국대학교 이석준 교수팀이 2000년 10월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에 제출한 "국내 소프트웨어 유통 활성화 방안 연구"의 최종보고서다. <실태 및 문제점 분석 요약> - 국내 패키지 S/W 유통시장은 외국산 OS 및 OA용 S/, 기업체 위주의 시장으로 형성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게임용, 학습용을 위주로 하는 Home Market은 침체되어 있는 실정임. 특히 Home Market에서의 OA용 S/W 시장은 전무 하다시피함. - 온라인 시장이 새로운 유통시장으로 대두하고 있는 반면, 오프라인 유통시장, 특히 Home Market은 오히려 관련업체들의 무관심으로 시장형성 조차 제대로 되어 있지 않은 상태임. - 국내 S/W 개발업체의 주요 분야는 게임 및 학습용임. - 개발업체 관점에서는 온라인 시장보다는 전통적인 오프라인 시장의 확대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함. - 유통 업체 측면에서는 S/W 유통 전문인력의 부족이 문제점으로 부각됨. <일반 유통 추세 (디지털 유통추세) 분석> - 일반 유통구조에서의 인터넷의 영향은 기업간의 유통 구조의 새로운 모델을 형성할 만큼 큰 변혁을 가져오고 있음. 고객 지향적인 제조업체와 인터넷에 기반을 둔 중간자의 사업방식의 변화로 기존유통채널의 기본적인 가정은 무너져 감. - 제조업체들은 인터넷을 통하여 최종 사용자와 보다 긴밀한 유대관계를 맺고 있음. - 인터넷의 확산은 기존 유통 가정을 무너뜨렸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가져왔음. *가치사슬 상의 수직적 통합 *유통 절차와 각 절차 상의 역할의 파괴 *기존의 상호 협력 관계의 붕괴. - 향후에는 제조업체, 중간자, 고객들은 유통구조의 변화가 그들의 산업을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지를 이해하여야만 하며 미래의 변화에 성공적으로 대응하는 기업만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임. - 소프트웨어 개발 업체들은 제품을 컴포넌트화 시킴으로써 향후 소프트웨어 유통구조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임. - 인터넷 활용에 의한 일반 유통구조 변화와 추세의 대표적인 특징은 고객의 요구에 가장 적합하며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를 만들어내는 plug & play 형태의 유통구조를 들 수 있음. <외국 유통구조와의 비교 분석> - 국내 소프트웨어 유통환경은 일본, 미국의 유통환경과 많은 차이가 있으면서도 일부는 일본, 미국의 유통 형태와 유사한 점이 있음. - 유통채널별 특징을 살펴보면 한국이 총판, 직판, 대리점 등의 복잡한 유통경로를 통하며 총판에 의한 비중이 큰 반면 미국은 디스트리뷰터나 딜러가 유통시장을 장악하고 있으며 직판의 비중이 가장 큰 특징임. - 일본의 유통채널은 소프트웨어 전문점, 가전 양판점의 비중이 늘어나는 추세가 있으며 딜러가 유통채널의 중요한 비중임. 또한 직판의 비중이 한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