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지식정보

제목 국내 섬유산업계 BtoB 전자상거래 추진 현황
저자 송태의 출처 EC연구조합
발간일 0000-00-00 등록일 2003-07-01
파일크기/형태 53,332 Byte / .hwp 가격 0
조회수 4797 다운로드수 79
파일 국내 섬유산업계 BtoB 전자상거래 추진 현황.hwp
요약
목 차

一. 국내 BtoB 마켓플레이스ㆍVortal 구축 동향ㆍㆍㆍㆍㆍㆍㆍㆍㆍ 2

二. 국내 섬유업계 BtoB 비즈니스 동향
1. 섬유 패션분야 e-마켓플레이스 구축 여건ㆍㆍㆍㆍㆍㆍㆍㆍ 8
2. 오프라인 업체 e-비즈니스 추진 동향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9
3. BtoB 전문업체 e-마켓플레이스 구축 동향ㆍㆍㆍㆍㆍㆍㆍㆍ14

三. QR 추진 동향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17


<요약>

원부자재로부터 제조, 판매에 이르기까지 구매자, 판매자가 지역적으로 분산돼 있는 데다 기존의 공급사슬이 비효율적이며 패션 라이프 싸이클이 짧다는 것이 섬유 패션분야에서 e-마켓플레이스가 활발한 이유다.
또한 패션부자재의 경우 구매자, 판매자가 분산돼 있고 신제품 출시가 생명인 패션제품의 특성을 감안할 때 e-마켓플레이스 활용성이 높다. 게다가 1:1마케팅, 디자인 강화로 새로운 디자인 제품이 매일 출시되고 있으나 부자재의 경우 다양한 신제품을 구매자가 접하기 어렵다는 점도 e-마켓 활성화의 배경이 될 수 있다.
섬유 패션 분야 e-마켓플레이스가 활성화되려면 *자재 검색 기반 취약(전자카다로그 구축 미흡) *전자상거래 이용기반, 마인드 취약 *10% 미만으로 추정되는 표준화율 등을 어떻게 극복하느냐가 관건이다.
한편 이 보고서는 *코오롱 상사 *쌍용중공업 *동대문 의류도매시장 대표자 협의회 *나눔기술 *새한그룹 *삼양사 *SK케미칼 *고합 등의 사례를 소개하고 있다.